Thursday, December 29, 2011
"And it gave a lovely light"
"You said you burned the candle at both ends," Cooper offers. "And it gave a lovely light," Hitchens replies.
"My candle burns at both ends. It will not last the night. But ah my foes and oh my friends, it gives a lovely light. " -Roald Dahl
죽기전까지 그 빛을 보면서만 살 수 있다면 여한이 없으리
Wednesday, December 28, 2011
방법론적 개인주의, 복잡계
등이 사회학의 이론적 토대를 끌고 나갈 것 같지는 않다. 인지심리적 메커니즘들을 고려하지 않는 한.
방법론적 개인주의는 illusion of difference, two-mode network of actor-ideas, ignoring cognitive mechanism들에 (앞의 두 개는 내 용어들임;;) 비추어봤을 때 가정 자체에 문제가 있는 비현실적 이론.
방법론적 개인주의는 illusion of difference, two-mode network of actor-ideas, ignoring cognitive mechanism들에 (앞의 두 개는 내 용어들임;;) 비추어봤을 때 가정 자체에 문제가 있는 비현실적 이론.
Tuesday, December 27, 2011
The 'huge cost' of Agassi's tennis success
http://news.bbc.co.uk/2/hi/programmes/hardtalk/8944340.stm
you should hate it first, decide to leave, and then look back at it, in order to truly become yourself in what you're doing
you should hate it first, decide to leave, and then look back at it, in order to truly become yourself in what you're doing
근시안2
어빙 피셔가 대공황 직전에 미국 주식시장에 대해 한 말...
The stock market crash of 1929 and the subsequent Great Depression cost Fisher much of his personal wealth and academic reputation. He famously predicted, three days before the crash, "Stock prices have reached what looks like a permanently high plateau." Irving Fisher stated on October 21 that the market was "only shaking out of the lunatic fringe" and went on to explain why he felt the prices still had not caught up with their real value and should go much higher. On Wednesday, October 23, he announced in a banker’s meeting "security values in most instances were not inflated." For months after the Crash, he continued to assure investors that a recovery was just around the corner. Once the Great Depression was in full force, he did warn that the ongoing drastic deflation was the cause of the disastrous cascading insolvencies then plaguing the American economy because deflation increased the real value of debts fixed in dollar terms. Fisher was so discredited by his 1929 pronouncements and by the failure of a firm he had started that few people took notice of his "debt-deflation" analysis of the Depression. People instead eagerly turned to the ideas of Keynes. Fisher's debt-deflation scenario has made something of a comeback since 1980 or so.
The stock market crash of 1929 and the subsequent Great Depression cost Fisher much of his personal wealth and academic reputation. He famously predicted, three days before the crash, "Stock prices have reached what looks like a permanently high plateau." Irving Fisher stated on October 21 that the market was "only shaking out of the lunatic fringe" and went on to explain why he felt the prices still had not caught up with their real value and should go much higher. On Wednesday, October 23, he announced in a banker’s meeting "security values in most instances were not inflated." For months after the Crash, he continued to assure investors that a recovery was just around the corner. Once the Great Depression was in full force, he did warn that the ongoing drastic deflation was the cause of the disastrous cascading insolvencies then plaguing the American economy because deflation increased the real value of debts fixed in dollar terms. Fisher was so discredited by his 1929 pronouncements and by the failure of a firm he had started that few people took notice of his "debt-deflation" analysis of the Depression. People instead eagerly turned to the ideas of Keynes. Fisher's debt-deflation scenario has made something of a comeback since 1980 or so.
Monday, December 26, 2011
from father Oh
"나는 어떠한 가난한 이들의 집에 들어가도 함께 편하게 머물 수 있는가? 어떤 가난한 이들도 내 집에 들어와서 편하게 머물 수 있는가?" - 엘살바도르에서 가난한 이들의 삶의 자리에서 20년 동안 선교사로 사셨던 고 브랙클리 신부는 사회정의의 첫걸음으로 이 질문을 던지며, 당신도 힘들지만 노력하신다고 고백하셨습니다: Dean Brackly S.J., "The Call to Discernment in Troubled Times" (2004)
Thursday, December 22, 2011
depreciation and humor
should be always accompanied when knowledge is displayed
Wednesday, December 21, 2011
On Hitchens
MANN: Tardy thanks for Christopher Hitchens
http://www.washingtontimes.com/news/2011/dec/20/tardy-thanks-for-christopher-hitchens/
"Hatred, as he once said, “is a terrific way of getting you out of bed in the morning.” Like many others, I loved him for his hatreds."
"Here was a professor who could teach more than most people could learn. Given his superhuman brainpower, it was always a surprise to rediscover that he was actually human. I remember walking into his apartment one evening and seeing him and his daughter playing a board game called “Cat-Opoly,” a feline version of Monopoly. I was taken aback. Seeing one of the world’s top intellectuals engaging in cat-themed recreation was not what I expected. It was like hearing that Stephen Hawking listens to Britney Spears."
"Hitchens was fond of refreshments. His reputation as a beastly drinker was so stout that people seemed to forget he was a mammal whose thirst could (eventually) be quenched. I am somewhat proud, and somewhat ashamed, to say that I once imbibed enough Johnnie Walker in his presence for him to comment, “If I drank that much scotch, I’d be violent.” To this day, I do not know if he was complimenting or castigating me. (I took it as a compliment.)"
Difference
Deconstructionism과 differance 개념은 가끔 유용할 때가 있다.
반추할 때
http://en.wikipedia.org/wiki/Deconstruction#From_Diff.C3.A9rance_to_Deconstruction
반추할 때
http://en.wikipedia.org/wiki/Deconstruction#From_Diff.C3.A9rance_to_Deconstruction
Sunday, November 20, 2011
back to basics
Statistical dispersion, its types
http://en.wikipedia.org/wiki/Intra-individual_variability#Sources_of_statistical_dispersion
One unfamiliar one- distance std. dev.
http://en.wikipedia.org/wiki/Distance_standard_deviation
http://en.wikipedia.org/wiki/Intra-individual_variability#Sources_of_statistical_dispersion
One unfamiliar one- distance std. dev.
http://en.wikipedia.org/wiki/Distance_standard_deviation
Thursday, November 17, 2011
Parsons, Homans, and Sorokin
에 대한 재밌는 일화들을 들었다.
파슨스 과목을 5-6개 들어야만 했던 예전 시절.
파슨스가 홍콩에 갔던 이야기
파슨스와 호만스의 안좋은 사이...(같은 커미티 안에 넣으면 안됐음) 'social relations'를 만들때 파슨스의 축사를 호만스가 짜른 얘기ㅎ (호만스가 부유한 집 (아담스 패밀리?) 출신이라 약간 고고함)
소로킨에게 돈을 대준 러시아 사람(이름 까먹음.. 러시아의 큰 백화점 아들이었는데 일본에 가서 5년 공부하고 (이때 라이샤워를 가르침), 옌칭에 와서 부소장인가를 하다가 그때 소로킨을 지원해줌)
파슨스 과목을 5-6개 들어야만 했던 예전 시절.
파슨스가 홍콩에 갔던 이야기
파슨스와 호만스의 안좋은 사이...(같은 커미티 안에 넣으면 안됐음) 'social relations'를 만들때 파슨스의 축사를 호만스가 짜른 얘기ㅎ (호만스가 부유한 집 (아담스 패밀리?) 출신이라 약간 고고함)
소로킨에게 돈을 대준 러시아 사람(이름 까먹음.. 러시아의 큰 백화점 아들이었는데 일본에 가서 5년 공부하고 (이때 라이샤워를 가르침), 옌칭에 와서 부소장인가를 하다가 그때 소로킨을 지원해줌)
Sunday, November 13, 2011
Saturday, November 5, 2011
근시안
http://en.wikipedia.org/wiki/Raymond_Queneau
아무리 그럴듯해도 근시안 속에 사는 사람들...
Queneau questioned the Surrealist support of the USSR in 1926. He remained on cordial terms with André Breton, although he also continued associating with Simone Kahn, after Breton split up with her. Breton usually demanded that his followers ostracize his former girlfriends.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for Queneau to avoid Simone, however, since he married her sister, Janine, in 1928. The year that Breton left Simone, she sometimes traveled around France with her sister and Queneau.
http://en.wikipedia.org/wiki/Hundred_Thousand_Billion_Poems
https://www.google.com/search?gcx=c&ix=c1&q=Hundred+Thousand+Billion+Poems&um=1&ie=UTF-8&hl=en&tbm=isch&source=og&sa=N&tab=wi&biw=1333&bih=645&sei=%201O-0TpvvLK6u2AWSoMT5Bg
아무리 그럴듯해도 근시안 속에 사는 사람들...
Queneau questioned the Surrealist support of the USSR in 1926. He remained on cordial terms with André Breton, although he also continued associating with Simone Kahn, after Breton split up with her. Breton usually demanded that his followers ostracize his former girlfriends.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for Queneau to avoid Simone, however, since he married her sister, Janine, in 1928. The year that Breton left Simone, she sometimes traveled around France with her sister and Queneau.
http://en.wikipedia.org/wiki/Hundred_Thousand_Billion_Poems
https://www.google.com/search?gcx=c&ix=c1&q=Hundred+Thousand+Billion+Poems&um=1&ie=UTF-8&hl=en&tbm=isch&source=og&sa=N&tab=wi&biw=1333&bih=645&sei=%201O-0TpvvLK6u2AWSoMT5Bg
Tuesday, November 1, 2011
memory
Dominic O'Brien
http://en.wikipedia.org/wiki/Dominic_O%27Brien의
책을 보았다.
우연한 계기에...! (Todd의 Discover magazine link를 타고 들어갔다가 Joshua Foer가 How I became a master of memory라는 글을 쓴 것을 계기로... World Memory Championship 우승자 list를 찾아보고... 등등 그러다가 D. O'Brien이 책을 많이 쓴 것을 보게 되고....등등....)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것은 기억...그리고 기억력이라는 생각...
(http://discovermagazine.com/2011/jul-aug/14-how-i-became-a-master-of-memory)
(작금의 정치 실태를 생각해보면 나쁜 짓한 정치인들의 나쁜 짓들을 구체적으로
꼼꼼하게 다 기억하고 나중에 투표로 내 의견을 표현하는 것 자체가 기억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컨텐트와 감성 모두 기억에 의존... 세세한 느낌들...
Before Sunset/Sunrise에서 Julie Delpy (Celine역)가 보여주는 아주 많은 감성적 스토리 텔링들이
사실은 기억/력이 없으면 안되는 것... 삶에 lost chapter가 많을수록 그게 불가능해 짐...
매일 하루하루를 거대한 기억의 공장처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
(기억이 많을수록 social confidence가 증가한다는 사실도 '기억'하고...ㅎ)
http://en.wikipedia.org/wiki/Dominic_O%27Brien의
책을 보았다.
우연한 계기에...! (Todd의 Discover magazine link를 타고 들어갔다가 Joshua Foer가 How I became a master of memory라는 글을 쓴 것을 계기로... World Memory Championship 우승자 list를 찾아보고... 등등 그러다가 D. O'Brien이 책을 많이 쓴 것을 보게 되고....등등....)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것은 기억...그리고 기억력이라는 생각...
(http://discovermagazine.com/2011/jul-aug/14-how-i-became-a-master-of-memory)
(작금의 정치 실태를 생각해보면 나쁜 짓한 정치인들의 나쁜 짓들을 구체적으로
꼼꼼하게 다 기억하고 나중에 투표로 내 의견을 표현하는 것 자체가 기억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컨텐트와 감성 모두 기억에 의존... 세세한 느낌들...
Before Sunset/Sunrise에서 Julie Delpy (Celine역)가 보여주는 아주 많은 감성적 스토리 텔링들이
사실은 기억/력이 없으면 안되는 것... 삶에 lost chapter가 많을수록 그게 불가능해 짐...
매일 하루하루를 거대한 기억의 공장처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
(기억이 많을수록 social confidence가 증가한다는 사실도 '기억'하고...ㅎ)
Saturday, October 29, 2011
hegelian
어떻게 생각하면 나의 예술에 대한 입장과 관점은
상당히 헤겔리언 변증법과 유사... negativity가 핵심. (헤겔 미학 자체에 대해서는 모름)
상당히 헤겔리언 변증법과 유사... negativity가 핵심. (헤겔 미학 자체에 대해서는 모름)
obscurantism
Kant employed technical terms that were not commonly understood. Schopenhauer contended that post-Kantian philosophers such asFichte, Schelling, and Hegel deliberately mimicked Kant's way of writing. "Because of his style which was obscure, Kant was properly understood by exceedingly few. And it is as if all the philosophical writers, who since Kant had had some success, had devoted themselves to writing still more unintelligibly than Kant. This was bound to succeed!"
from http://en.wikipedia.org/wiki/Obscurantism#Kant
from http://en.wikipedia.org/wiki/Obscurantism#Kant
Nam June Paik
"Skin has become inadequate in interfacing with reality. Technology has become the body's new membrane of existence."
Thursday, October 27, 2011
[특파원 칼럼] 피저우의 ‘조용한 혁명’ / 박민희 [한겨레]
중국에서 노동자 목소리를
반영하는 실험이 성공한다면
반영하는 실험이 성공한다면
| ||||||
중국에서 가장 경제가 발달한 장쑤성의 북쪽에 피저우라는 도시가 있다. <삼국지>에서 여포가 조조와 마지막 결전을 벌이다 패해 최후를 맞게 되는 격전지 하비성이 이곳이다.
현대의 피저우는 외국에서 들여온 원목을 합판으로 가공하 는 3000여개 기업에서 10만여명의 노동자가 일하는 중국 최대의 합판가공 수출단지다. 2006년 이곳에서 노동자 대표와 합판기업 사장 대표가 마주앉아 첫 산별 단체협상을 시작했다. 단체협상은 6년 연속 계속됐고, 올해 5월에도 노동자 대표 15명과 합판협회 사장 대표 15명이 10만 노동자의 최저임금, 생산량별 성과급, 근속연수와 기술 등급별 임금, 보너스와 복지제도 등에 대해 치열한 협상을 벌였다.
이를 통해 이 지역 합판산업 노동자들의 임금은 해마다 20~30%씩 오르고 있다. 2006년 산별교섭이 시작될 당시 사장들은 임금만 많이 오르게 된다며 반대했다. 이제는 노동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협상으로 이직률이 부쩍 낮아지고 노동 효율이 높아지고 업체 간의 악성 경쟁이 사라져 기업 환경이 훨씬 안정적으로 변했다며 반기고 있다.
변화를 이끌어낸 것은 이 지역 공회다. 흔히 공회는 중국 정부의 통제를 받고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관제 노조로 알려져 있지만, 이 지역 공회는 앞장서서 산별 단체협상과 임금인상을 추진하면서 노동자와 경영자 사이의 ‘중매쟁이’ 노릇을 자임하고 있다.
최근 피저우의 산별교섭 상황을 돌아보고 온 이창휘 국제노동기구(ILO) 베이징사무소 선임자문위원은 피저우를 기점으로 중국 노동현장에서 “조용한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한다. 노조 조직률이 98%가 넘는 장쑤성에서 시작된 산별 단체협상이 저장·후베이·광둥성 등으로 확산되면서 중국 산업현장에서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반영된 임금인상과 기업이윤의 재분배가 일어나고 있다. 중국 정부도 임금조례를 제정해 전국적으로 단체협상을 도입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중국은 저임금 노동력과 위안화 저평가 등을 통해 전세계 시장을 석권하고, 전세계에 값싼 공산품을 무한정 공급하는 ‘세계의 공장’이었다. 반면, 수출 경쟁력을 위해 중국 노동자들은 저임금을 강요당했고, 이는 극심한 빈부격차와 내수 축소라는 아킬레스건을 만들어냈다. 이런 성장모델이 한계에 부닥쳤다는 것은 이제 분명해졌다.
세계 경제위기 속에서 중국 경제의 위기를 경고하는 비관적 신호는 많다. 고속성장을 이끌어온 두 축인 투자와 수출이 모두 흔들리고 있다. 부동산 거품과 금융 부실, 지방정부 부채, 수출 주문 급감, 심각한 과잉투자 문제 등 온통 빨간불이다.
하지만 중국이 작심하고 임금인상과 분배정책을 추진하면서 내수 중심 성장 쪽으로 조금씩 이동하는 청신호도 보이기 시작했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이 중국 국내총생산(GDP)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7년에 8.9%였지만 지금은 2.5% 수준으로 떨어졌다. 전년 동기 대비 중국의 소매 판매 증가율은 8월 17%, 9월 17.7%로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 차기 중국 지도부 후보인 보시라이 충칭시 서기와 왕양 광둥성 서기는 분배가 먼저냐 성장이 먼저냐를 놓고 공개적으로 ‘케이크 논쟁’도 벌이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대량의 돈을 풀어 위기를 극복한 듯 보였던 중국은 ‘중국모델’을 자랑했지만, 수많은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피저우에서처럼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반영되고 빈부격차를 줄이려는 실험이 확산되고 성공한다면, 중국은 거품 걷힌 진정한 ‘중국모델’을 세계에 내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수출 중심 정책에 안주하며 비정규직과 약자의 희생을 강요하고 있는 한국 경제에는 중국이 어떤 교훈을 주게 될까. minggu@hani.co.kr
Wednesday, October 26, 2011
The Cremaster Cycle
완전 사기 캐릭터 Matthew Barney (세계적인 아티스트+전직 모델(J.Crew모델)+예일대+Bjork 남편 (파트너)...)의 5부작.
평가가 엇갈리는데 DVD 하나에 최소 1억씩 팔리는건 좀 부러움..; Cremaster 2 disc 하나가 2007년에 6억에 팔렸음...-;
youtube로 조금 봤는데 별로 와닿지는 않음... 배경 지식 너무 많이 필요하고 (e.g., celtic신화 등) visual image에 너무 치중하는 것들은 역시...
Cremaster cycle보다도 Bjork의 다음 인터뷰가 더 @#$%^&**()함...ㅎㅎㅎ
평가가 엇갈리는데 DVD 하나에 최소 1억씩 팔리는건 좀 부러움..; Cremaster 2 disc 하나가 2007년에 6억에 팔렸음...-;
youtube로 조금 봤는데 별로 와닿지는 않음... 배경 지식 너무 많이 필요하고 (e.g., celtic신화 등) visual image에 너무 치중하는 것들은 역시...
Cremaster cycle보다도 Bjork의 다음 인터뷰가 더 @#$%^&**()함...ㅎㅎㅎ
Tuesday, October 25, 2011
Saturday, September 24, 2011
“The more the universe seems comprehensible, the more it also seems pointless.”
and other Steven Weinberg quotes
http://thinkexist.com/quotation/the_more_the_universe_seems_comprehensible-the/327172.html
http://thinkexist.com/quotation/the_more_the_universe_seems_comprehensible-the/327172.html
Thursday, September 22, 2011
China's Market-Oriented Reforms in Retreat
http://english.caixin.cn/2011-07-05/100275974.html
Economist: China's Market-Oriented Reforms in Retreat
Wu Jinglian, researcher 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Center at the State Council, said reforms to the state economy have undergone a reversal of momentum since the start of the 2000s
(Beijing) - China's "market forces have regressed" as government agencies have started to play a more obstructive role in resource allocation, Wu Jinglian, one of China's foremost economists, said on July 4.
![]() |
(Wu Jinglian/Li Mo) |
Although the state economy no longer contributes a major portion to gross domestic product, it maintains a monopoly in sectors like petroleum, telecoms, railways and finance, Wu said in a keynote speech in the opening ceremony of a global conference sponsored by the International Economic Association.
Governments at various levels also have a huge hold over major economic resources such as land and capital, said Wu, who serves as a researcher of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Center at the State Council.
China still lacks a legal foundation that is indispensable for a modern market economy. Government officials intervene in the market at their will through administrative means, said Wu.
China's market forces gained vigor when the pricing of goods was liberalized in the early 1990s and millions of township enterprises were privatized at the turn of the last century, said Wu.
Entering the 2000s, however, the reform of state-owned enterprises suffered a setback, and SOEs have inhabited an increasingly assertive role in the market at the expense of private businesses. "The government has acted more intrusively in the name of macro-economic regulation," said Wu.
In China, there have been two distinct views over the origins of China's rapid economic growth.
One view attributes the achievement to the "China model" marked by the domination of the state economy and the forceful regulation over the economy by the government.
The other view holds that the high-speed growth was the result of market-based reforms and the liberation of the entrepreneurial spirit of the people.
For this question, Wu noted the current growth model is unsustainable and has been built on investment that exploits resources and damages the environment.
Another consequence of strengthened government control over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and active intervention in economic activity is more corruption and a larger wealth gap, said Wu.
A shift towards social governance in China
http://www.eastasiaforum.org/2011/09/09/a-shift-towards-social-governance-in-china/

Author: Yu Keping, Peking University
In recent years, a new institution has been established withi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at the very beginning of each year, a senior workshop of leading officials at the ministerial or provincial level is held at the Central Party School.

At this workshop, the priorities of each year’s work are laid out. This year’s Central Party School workshop, held in February, focused on ‘social management innovation’ (社会管理创新). President Hu Jintao, general secretary of the CCP, delivered a keynote speech which indicates that ‘social management innovation’ has now been placed at the top of the CCP agenda.
What exactly is ‘social management’? It is difficult to find an English translation that accurately reflects the Chinese meaning of ‘social management’. It is one of many political terms that are difficult to define outside their Chinese context. Broadly speaking, social management means the government manages and regulates social affairs (社会事务), social organisations (社会组织) and social life (社会生活), with the guidance of law. The connotation of social management is so broad that it includes areas such as social justice, public security, social stability, social trust, the coordination of various social interests, food safety, emergency management, city management and community governance. In other words, social management encompasses all government dealings with society, excluding business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Social management in China, therefore, could be understood as social governance that distinguishes itself both from economic governance and state governance.
The term ‘social management’ first appeared in the Proposal to Restructure the State Council, adop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1998. According to this proposal, the basic functions of government include ‘macro-economic control, social management and public services’. After that, social management began to gain prominence in the agendas of both the party and government. ‘Social management’ was further elaborated on in the 16th and 17th party congresses. ‘Strengthening and innovating social management’ was a focus at the Fifth Plenary Session of the 17th Central Committee in 2010.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is session, ‘the general principle of social management is party leadership, government responsibility, social coordin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Relevant laws, institutions and capacities should be perfected and strengthened in order to be compatible with the demands of social management. Laws, regulations and policies need to be perfected, management and service functions of grassroots governments strengthened, the CCP’s organisational work at grassroots level improved, the functions of mass organisations and social organisations be fully exploited, and community autonomy and service functions enhanced.’ By following these actions, the CCP aims to improve social management and sharpen government capacity for delivering public services.
Why did China direct its focus of governance reform specifically towards social issues? At the very beginning of reform and opening up in the late 1970s, the major difficulties China faced included a backward economy, extreme poverty, administrative inefficiency and an ineffective legal system. Put differently, the major tasks at that time were to reform economic governance and state governance. After more than 30 years of reform and opening up, China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accompanied by great improvements in people’s living standards, enhancement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the establishment of a basic legal system.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arket economy and acceleration of industrialisation and urbanisation, the monolithic party-state governance model has become unsustainable — the functions of government have experienced tremendous change, social or civil organisations have rapidly emerged, the traditional working unit system (单位体制) has collapsed, the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is under pressure to change, and the domestic migrant population is surging. Because of these changes, a lot of new social issues have emerged. Social stability has become a prominent problem and a crisis in social governance is ever more likely. Strengthening and perfecting social governance has become a pressing priority for the Chinese government.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some courageous institutional reforms in the social sphere, including the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civil rights mechanisms, the protection and coordination of public interests, social safety, public security, social stability, public service, emergency management and grassroots governance, as well as social autonomy. The government has tried hard to broaden the scope and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 establish a social security network as well as promote social autonomy. The ultimate purpose of social governance reform lies in mitigating the threat of social conflicts and safeguarding social order and stability.
A noticeable development in the recent social governance reform i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s attaching more importance to civil society. The CCP’s general principle for social management is ‘party leadership, government responsibility, social coordin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A larger role for social organisations in social governance is an indispensable element of ‘social coordin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By 2010, there were over 450,000 registered civil organisations and 250,000 community organisations, respectively, in China. If we take unregistered civil organisations into account also, the overall number would jump to over three million. The government has taken a cautious attitude towards civil organisations. More recently, however, top leaders have advocated the participation of social organisations in social management innovation. Top Chinese leaders even made it clear that social organisations would receive more support and encouragement from the government. In the recently adopted 12th Five-Year Plan on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push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organisations forward’ was given an unprecedented level of attention. These changes indicate that although the government has never made reference to the term ‘civil society’ in official documents, it now recognises its importance.
With continuing urbanisation, modernisation and democratisation, the Chinese government is certain to face more pressure in maintaining social stability. Social governance reform is a way for the government to release social pressures and maintain social stability. Success will largely rests on the growth of democracy and rule of law, increased civil engagement and social autonomy, and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Yu Keping is Professor and Director of the China Center for Comparative Politics & Economics (CCCPE), and also Professor and Director, Center for Chinese Government Innovations, Peking University.
This article was published in the most recent edition of the East Asia Forum Quarterly, ‘Governing China’.
Local versus central governance in China: Providing basic public services
http://www.eastasiaforum.org/2011/09/17/local-versus-central-providing-basic-public-services/
"At present, government revenues to provide basic public services are distributed unevenly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ince the tax distribution system was set in 1994,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responsible for 50 per cent of all public revenues. Despite this, it has provided less than 10 per cent of the funding for the three basic public service spheres of compulsory education, public health and social security. Ninety per cent of the fiscal investment in these areas is carried out by local governments.
"At present, government revenues to provide basic public services are distributed unevenly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ince the tax distribution system was set in 1994,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responsible for 50 per cent of all public revenues. Despite this, it has provided less than 10 per cent of the funding for the three basic public service spheres of compulsory education, public health and social security. Ninety per cent of the fiscal investment in these areas is carried out by local governments.
Differences in revenue between regions ensure that the level of basic public services provided across those regions will not be equal. For the most part, the level and quality of public services in the developed eastern regions are much higher than in the less-developed western regions. This phenomenon is very clear in the three public services spheres under discussion.
The current system of transferring revenue inhibits the provision of basic public services on a more equal footing. Not only does it fail to promote equal distribution of basic services, but it has also widened regional differences in service provision.
If China wants to achieve the goal of delivering public education, public health and social security at equal level across the nation, then the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should assume equal fiscal responsibility for providing these services. To this end,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powers should be redistributed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until they match each other, and the current system of public revenue transfer should be reformed.
To achieve this, the existing system of tax revenue return should be gradually abolished. All general revenue transfer items should be integrated, bringing their attributes and functions into play. In addition, special revenue transfer programs should be strictly limited, and a better system of sub-provincial revenue transfer developed. It would also be profitable to explore a new system of revenue transfer which combines the current vertical and horizontal transfer systems."
China’s prospects for diminishing regional disparities
http://www.eastasiaforum.org/2010/08/31/chinas-prospects-for-diminishing-regional-disparities/
"Will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less-developed centre and west reduce these inequalities in the next two decades?
"Will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less-developed centre and west reduce these inequalities in the next two decades?
This question permits an optimistic response: ‘yes, it is possible’. Recent analysis indicates the glory days of the east’s industrial dominance could be coming to an end, with the region no longer performing above the average across the broad spectrum of industrial sectors. In addition, there is evidence of rising costs in the east, which will provide the impetus for industrial upgrading there. In this context, a serious and committed pro-west (or at least non-pro-east) regional policy with substantial funding well spent on infrastructure and education could play a positive role in triggering self-sustaining industrial development outside the eastern region. Rising incomes in the east could provide a crucial source of demand for non-eastern products, with the east possibly becoming for western China what the industrialised world has been for the eastern region during its own industrial take-off – a stable consumer market.
However, for this to translate into a reduction in regional income inequalities would require the western region to grow faster than the east by at least 2 percentage points. It is unlikely that changing patterns of industrial development in response to market forces and the current set of regional policies will be sufficient for achieving this objective . Even when taking other non-industrial factors into account, such as the potential for out-migration and resource rents to raise the per capita incomes of those who remain in the western region, it is unlikely that the speed of growth in western China will drive Chinese regional incomes towards equality.
The pessimistic response is that; ‘no,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less-developed centre and west cannot possibly reduce these inequalities in the next two decades’. Even if rising costs in labour-intensive manufacturing in the east produced industrial upgrading there, industry would relocate outwards to competitor nations such as India and Vietnam. Western China would then be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pockets of poverty and underdevelopment. The east would become increasingly integrated into the global economy, while the west would remain isolated from the rest of the world.
This outcome would pose a serious threat to the legitimac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especially if it fails to implement policies effectively that reverse the situation.
What, then, is the most likely outcome?
The balance of evidence suggests an outcome somewhere in between these two extremes. The next two decades are likely to witness limited improvements in the distribution of regional per capita incomes underpinned partially by limited re-distribution of industry towards some but not all of China’s non-coastal provinces. Thus regional inequality between the west and the rest of China is likely to be diminished marginally at best."
Wednesday, September 21, 2011
'contained contention'
Not the next Arab Spring: The China method for managing popular unrest
http://www.eastasiaforum.org/2011/09/20/not-the-next-arab-spring-the-china-method-for-managing-popular-unrest/#more-21797
"Chinese leaders effectively provide an outlet for the most mobilised, informed and engaged segments of the population to express their opinions through selective tolerance of popular protests and policy debates. At the same time, the state relies upon pervasive surveillance, coercion and censorship to restrain activists from mobilising to directly challenge its rule. The result is a kind of contained contention, in which popular protests continue to erupt and influence specific policy decisions but do not fundamentally undermine the party-state’s authority."
‘Mass incidents’ in China
http://www.eastasiaforum.org/2011/07/13/mass-incidents-in-china/
The vast majority of mass incidents have a clear objective — to defend or restore citizen rights encroached upon by authority or the market. Termed ‘responsive’ collective action by the late social scientist Charles Tilly, civil unrest is a normal social response to the infringement of rights to which there is no effective remedy.
Chinese nationalism and where it might lead
http://www.eastasiaforum.org/2011/09/21/nationalism-and-where-it-might-lead/
The first is benevolent Chinese nationalism.
Second is controlled nationalism.
Third is expanded nationalism.
Fourth is aggressive nationalism.
Fifth is explosive nationalism in economic crisis. ...
The first is benevolent Chinese nationalism.
Second is controlled nationalism.
Third is expanded nationalism.
Fourth is aggressive nationalism.
Fifth is explosive nationalism in economic crisis. ...
Monday, September 12, 2011
Benjamin!
http://en.wikipedia.org/wiki/The_Work_of_Art_in_the_Age_of_Mechanical_Reproduction
Benjamin and video art...
Benjamin and video art...
Sunday, September 11, 2011
story based mechanism
오늘의 아이디어...
variable based 말고...
cognitive approach를 해서.....
pragmatic approach (practice theory)와 같은 점 다른 점...
mechanism, the book에서 설명하는 메커니즘과 같은 점 다른 점...
(mechanism이라는 것 자체가 사실상 말되는 '스토리' 아닌가)
story는 episodic memory (--> age등 여러 요인들과 연관이 있음)에 의존.
Chris 그룹미팅에선 이걸로,,
variable based 말고...
cognitive approach를 해서.....
pragmatic approach (practice theory)와 같은 점 다른 점...
mechanism, the book에서 설명하는 메커니즘과 같은 점 다른 점...
(mechanism이라는 것 자체가 사실상 말되는 '스토리' 아닌가)
story는 episodic memory (--> age등 여러 요인들과 연관이 있음)에 의존.
Chris 그룹미팅에선 이걸로,,
Saturday, September 10, 2011
지식과 아이덴터티
아주 오랜 옛날에는 한 사람이 거의 전분야에 걸쳐 박식한 지식을 쌓는다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했으나 언젠부턴가 그런 것은 완전 허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실 작은 분야라 하더라도 그 안에서의 지식을 마스터하기란 상당히 힘들다.
이런 생각이 연장되다가 결국 지식에 대한 허무주의까지로도 연결되었는데,
요즘에 든 다른 생각은, 결국 중요한 것은 얼마나 많은 지식이 한 사람 안에 축적되냐가 아니라, 개인이 가진 지식과 정보들이 서로 체계적인 연결고리를 이루며 어떤 스토리를 만들어내냐가 중요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지식은 스토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쌓여지는 것. 많은 지식이 유리한 것은 풍부한, 유기적인, 스토리를 만들어내기 좋기 때문인 것이지 그것 자체가 대단한 의미를 지닌 것은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식을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느냐만큼 중요한 것은, 그런 지식, 생각, 정보들이 얼마나 재미있고 의미있고 가치있는 형태로 얼개를 이루어 스토리를 형성하느냐이다.
---
on another note, 요즘 사회학에서 많이 연구하는 것이 identity의 문제인데,
(지식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도 결국 아이덴터티의 문제로 연결되긴 하지만,
감정상태의 조합을 바탕으로한 아이덴터티도 현실에서 개인의 아이덴터티를
구성하는 중요한 핵인것 같다. 연령, 성별, 소득, 직업 등등만이 아니라...
그런 아이덴터티의 이미지는 본인 스스로도 소비하고 타인에 의해서도 소비된다.
현대는 이런, (지식-스토리) + (감정의 스타일-아이덴터티)의 조합이 중요하다.
이런 생각이 연장되다가 결국 지식에 대한 허무주의까지로도 연결되었는데,
요즘에 든 다른 생각은, 결국 중요한 것은 얼마나 많은 지식이 한 사람 안에 축적되냐가 아니라, 개인이 가진 지식과 정보들이 서로 체계적인 연결고리를 이루며 어떤 스토리를 만들어내냐가 중요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지식은 스토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쌓여지는 것. 많은 지식이 유리한 것은 풍부한, 유기적인, 스토리를 만들어내기 좋기 때문인 것이지 그것 자체가 대단한 의미를 지닌 것은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식을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느냐만큼 중요한 것은, 그런 지식, 생각, 정보들이 얼마나 재미있고 의미있고 가치있는 형태로 얼개를 이루어 스토리를 형성하느냐이다.
---
on another note, 요즘 사회학에서 많이 연구하는 것이 identity의 문제인데,
(지식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도 결국 아이덴터티의 문제로 연결되긴 하지만,
감정상태의 조합을 바탕으로한 아이덴터티도 현실에서 개인의 아이덴터티를
구성하는 중요한 핵인것 같다. 연령, 성별, 소득, 직업 등등만이 아니라...
그런 아이덴터티의 이미지는 본인 스스로도 소비하고 타인에 의해서도 소비된다.
현대는 이런, (지식-스토리) + (감정의 스타일-아이덴터티)의 조합이 중요하다.
역설
정치 부패 인덱스에서 세계 39위인 나라.
정치가 깨끗해져야 한다고 하면서도 깨끗한 사람이 정치하겠다고 하면 '정치는 아무나 하나' '정치판 가서 물들면...'이라고 하는 사고 방식.
비상식적 상황을 상식으로 바꿔야 한다고 하면서도 비상식적 상황의 모순들에 너무 쉽게 자기 마음을 내놓는 사고 방식.
둘을 아는 사람들이 하나 아는 사람들 위에 군림하고 넷 정도 아는 사람들을 잡아끌어내리고 물어뜯어서 둘이나 하나 수준으로 끌어내려야 만족하는 사고방식.
등등
이런 한국적 실상이 싫지만 전에 쓴 글대로....
정치가 깨끗해져야 한다고 하면서도 깨끗한 사람이 정치하겠다고 하면 '정치는 아무나 하나' '정치판 가서 물들면...'이라고 하는 사고 방식.
비상식적 상황을 상식으로 바꿔야 한다고 하면서도 비상식적 상황의 모순들에 너무 쉽게 자기 마음을 내놓는 사고 방식.
둘을 아는 사람들이 하나 아는 사람들 위에 군림하고 넷 정도 아는 사람들을 잡아끌어내리고 물어뜯어서 둘이나 하나 수준으로 끌어내려야 만족하는 사고방식.
등등
이런 한국적 실상이 싫지만 전에 쓴 글대로....
Religious views of founding fathers
"Lighthouses are more useful than churches."
- Benjamin Franklin
"This would be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if there were
no religion in it!"
- John Adams
"Christianity is the most perverted system that ever shone on man.":
- Thomas Jefferson
알고보면 매우 다른 미국 건국아버지들의 신앙에 미국의 종교적 아이덴터디를 등치시키는 것은 사실 역사적으로는 오류...
- Benjamin Franklin
"This would be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if there were
no religion in it!"
- John Adams
"Christianity is the most perverted system that ever shone on man.":
- Thomas Jefferson
알고보면 매우 다른 미국 건국아버지들의 신앙에 미국의 종교적 아이덴터디를 등치시키는 것은 사실 역사적으로는 오류...
Friday, September 9, 2011
한국이 싫다면...
별로 사회학적인 이야기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한국의 어떤 모습들이 싫다면,
그것은 한국의 구조나 문화에 문제가 있다기 보다는 사람들의 마음에 문제가 있다고 보는 편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 자신은 그러한 마음을 가지지 않고, 다른 마음을 가지고 추구하며 살아가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음은 전파되고, 공감을 얻으며, 비슷한 마음들을 만나게 된다.
내가 비판하고자 하는 대상이 가진 마음과 정반대의 마음을 가지는 것이, 그 대상을 말로 비판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공명을 울린다. 현재의 마음을 초월하지 않으면, 무언가를 바꾸는 것은 요원해질 뿐이다.
한국의 어떤 모습들이 싫다면,
그것은 한국의 구조나 문화에 문제가 있다기 보다는 사람들의 마음에 문제가 있다고 보는 편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 자신은 그러한 마음을 가지지 않고, 다른 마음을 가지고 추구하며 살아가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음은 전파되고, 공감을 얻으며, 비슷한 마음들을 만나게 된다.
내가 비판하고자 하는 대상이 가진 마음과 정반대의 마음을 가지는 것이, 그 대상을 말로 비판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공명을 울린다. 현재의 마음을 초월하지 않으면, 무언가를 바꾸는 것은 요원해질 뿐이다.
단상...
1. 지식인이란...
자신의 일을 겸손한 자세로 성실하게, 참을성 있게 하면서 거기에
다른 사람을 위하는 자세가 갖추어져 있는 사람이 지식인이다.
더 짧은 버젼으로 말하면, 자신의 일을 윤리적으로 열심히 하는 사람.
그것을 통해 바닥이 닦여진 사람이 사회적으로도 무언가 할 말이 있고
말할 자격이 있다. 지식인으로서의 자격은 학위나 교양이나 직업이
주는 것이 아니다.
(지식인 on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Intellectual)
2. 다른 사람에 대한 말...
현재 우리 사회는 아무리 훌륭한 사람이 등장해봐야 떼로 달려들어
끊임없이 물어뜯고 할퀴고 잡아 끌어내리는 상황으로 되어있다.
그걸 떠나서 남에 대한 평가는 쉴새 없이 이루어지고, 남 욕하고 남 험담하고
안좋게 보고 하는 것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진다.
어떤 학자들은 거기에 진화론적인 배경이 있다고도 하지만, 어쨌든
한 사람에 대한 평가는 무조건 "나는 잘 모르지만"이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495514.html) 기본이어야 하고,
그 사람 앞에서도 떳떳이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을 그 사람이 없는 자리에서
이야기해야 한다. 떳떳이까지는 아니더라도, 부끄러움 없이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을.
"'추측'은 참 부정확하더라고요."
부끄러움이 없는 추측이 아니라면, 말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 추측과 험담은
독이 되어 공기중에 날아다니면서 사람과 사회를 병들게 한다.
자신의 일을 겸손한 자세로 성실하게, 참을성 있게 하면서 거기에
다른 사람을 위하는 자세가 갖추어져 있는 사람이 지식인이다.
더 짧은 버젼으로 말하면, 자신의 일을 윤리적으로 열심히 하는 사람.
그것을 통해 바닥이 닦여진 사람이 사회적으로도 무언가 할 말이 있고
말할 자격이 있다. 지식인으로서의 자격은 학위나 교양이나 직업이
주는 것이 아니다.
(지식인 on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Intellectual)
2. 다른 사람에 대한 말...
현재 우리 사회는 아무리 훌륭한 사람이 등장해봐야 떼로 달려들어
끊임없이 물어뜯고 할퀴고 잡아 끌어내리는 상황으로 되어있다.
그걸 떠나서 남에 대한 평가는 쉴새 없이 이루어지고, 남 욕하고 남 험담하고
안좋게 보고 하는 것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진다.
어떤 학자들은 거기에 진화론적인 배경이 있다고도 하지만, 어쨌든
한 사람에 대한 평가는 무조건 "나는 잘 모르지만"이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495514.html) 기본이어야 하고,
그 사람 앞에서도 떳떳이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을 그 사람이 없는 자리에서
이야기해야 한다. 떳떳이까지는 아니더라도, 부끄러움 없이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을.
"'추측'은 참 부정확하더라고요."
부끄러움이 없는 추측이 아니라면, 말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 추측과 험담은
독이 되어 공기중에 날아다니면서 사람과 사회를 병들게 한다.
Monday, September 5, 2011
이념
이념적 성향, 포지션.... 이런 것의 유용한 측면, 전략적 필요성 또한 있지만, 어떠한 종류든간에 '믿음'이라는 것에 긍정적이지 않은 나는 그것들에 대해 근본적으로 불편하다.
결국 이념이라는 것은 social cognition의 연장선상에서 나오는 것이고, 그것의 생성/유지가 group loyalty와 cognitive efficiency라는 두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상당부분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현실'을 파악하고 바꾸는 것에 저 두가지는 득보다 실이 많다.
이념이나 이데올로기보다는 '의심'과, 의심을 최대한으로 잠재울 수 있는 자명한 (self-evident) 사회적 공리들(social axioms)의 체계에 기대는 것이 더 맞다고 보여진다.
결국 이념이라는 것은 social cognition의 연장선상에서 나오는 것이고, 그것의 생성/유지가 group loyalty와 cognitive efficiency라는 두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상당부분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현실'을 파악하고 바꾸는 것에 저 두가지는 득보다 실이 많다.
이념이나 이데올로기보다는 '의심'과, 의심을 최대한으로 잠재울 수 있는 자명한 (self-evident) 사회적 공리들(social axioms)의 체계에 기대는 것이 더 맞다고 보여진다.
Sunday, September 4, 2011
이반 카라마조프
...
신은 인간 세상의 정의와 고통의 문제에 ('거의') 개입하지 않는다.
자연법칙 또한 오히려 우리가 생각하는 정의와 반대방향으로 가는 성격을 가졌다.
인간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으면 정의는 도태된다.
신은 인간 세상의 정의와 고통의 문제에 ('거의') 개입하지 않는다.
자연법칙 또한 오히려 우리가 생각하는 정의와 반대방향으로 가는 성격을 가졌다.
인간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으면 정의는 도태된다.
안철수
안철수의 시장 출마와 관련하여 여러 이야기들이 많다.
정작 본인은 아직 고민 중인 것 같은데... 검증되지 않은 루머들도 팩트인 것 처럼
전파가 되고.. (특히 윤여준과의 관계와 관련해서)
개인적으로 대단히 장점이 많은 사람이라고 보여지고, 행정 경험이 없다거나 정치판에서의 세나 경험이 없다는 것으로 비판하는 것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반박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그런 논리라면 안철수는 애시당초 경영자의 길로 가지도 말았어야 한다. 책보고 공부밖에 안한 얼굴 하얀 백면서생의 의사가 어떻게 그 험한 중소기업 사장의 길로 가느냐고 뜯어말렸어야 한다.)
때로는 한국에 진보와 보수의 논의와 논쟁들이 사실 문제의 표면만을 긁고 있다고 느껴질 때가 많다. 그 밑은 비상식과, 부패와,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사집단들이 몸통을 이루고 있는데... 그래서 속칭 '진보'가 집권한다고 해서 어떤 특정 문제가 크게 해결될 것 같지도 않다. (물론 더 큰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을지언정...) 어차피 그 다음에 정권을 뺏길 가능성은 매우 크고 그러한 사이클이 영구히 지속될 수 밖에 없다. 결국 상식과 비상식의 대결이 게임의 핵심인게 맞다. '합리적 보수'는 '합리적 진보'에서도 열렬히 환영할만 하다. 하지만 비상식의 게임에선 보수나 진보나 합리성의 틀 안에서 담론을 키우고 얘기하기가 힘들다. 증오와 배타성을 바탕으로한 싸움만 지속될 뿐... (누가 더 맞고 틀리냐를 떠나...) 물론 승자는 영원히 결정되지 않을 것이고. 실질적인 양당제의 한계라고 해야할까.
아무튼 진보진영을 위해서라도 이데올로기 지형이 바뀌어야 한다. 새로운 인물이 필요하고 또 필요하다. 안철수가 얼마나 적합한 인물인가는 결국 시간이 보여줄 문제.
다만 시점이 지금이 맞느냐....는 생각해 볼 문제인 듯 하다.
정작 본인은 아직 고민 중인 것 같은데... 검증되지 않은 루머들도 팩트인 것 처럼
전파가 되고.. (특히 윤여준과의 관계와 관련해서)
개인적으로 대단히 장점이 많은 사람이라고 보여지고, 행정 경험이 없다거나 정치판에서의 세나 경험이 없다는 것으로 비판하는 것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반박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그런 논리라면 안철수는 애시당초 경영자의 길로 가지도 말았어야 한다. 책보고 공부밖에 안한 얼굴 하얀 백면서생의 의사가 어떻게 그 험한 중소기업 사장의 길로 가느냐고 뜯어말렸어야 한다.)
때로는 한국에 진보와 보수의 논의와 논쟁들이 사실 문제의 표면만을 긁고 있다고 느껴질 때가 많다. 그 밑은 비상식과, 부패와,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사집단들이 몸통을 이루고 있는데... 그래서 속칭 '진보'가 집권한다고 해서 어떤 특정 문제가 크게 해결될 것 같지도 않다. (물론 더 큰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을지언정...) 어차피 그 다음에 정권을 뺏길 가능성은 매우 크고 그러한 사이클이 영구히 지속될 수 밖에 없다. 결국 상식과 비상식의 대결이 게임의 핵심인게 맞다. '합리적 보수'는 '합리적 진보'에서도 열렬히 환영할만 하다. 하지만 비상식의 게임에선 보수나 진보나 합리성의 틀 안에서 담론을 키우고 얘기하기가 힘들다. 증오와 배타성을 바탕으로한 싸움만 지속될 뿐... (누가 더 맞고 틀리냐를 떠나...) 물론 승자는 영원히 결정되지 않을 것이고. 실질적인 양당제의 한계라고 해야할까.
아무튼 진보진영을 위해서라도 이데올로기 지형이 바뀌어야 한다. 새로운 인물이 필요하고 또 필요하다. 안철수가 얼마나 적합한 인물인가는 결국 시간이 보여줄 문제.
다만 시점이 지금이 맞느냐....는 생각해 볼 문제인 듯 하다.
Sunday, August 28, 2011
a la John Rawls (1971)
"Justice is the first virtue of social institutions, as truth is of systems of thought. A theory however elegant and economical must be rejected or revised if it is untrue; likewise laws and institutions no matter how efficient and well-arranged must be reformed or abolished if they are unjust" (1971, p.3).
Wednesday, August 24, 2011
민주주의의 적은 민주주의
미국, EU, 한국 모두 정치학자들이 얘기하는 "unequal democracy"의 경향이 나타나는데... 민주주의의 적은 사회주의가 아니라 불평등한 민주주의....라고 얘기하면 좌빨이 되는 현실이 참...;;
this seems like a good idea
http://www.allourideas.org/
http://www.physorg.com/news198835507.html
프린스턴의 Matthew Salganik이 학부생들 데리고 개발하는 web-based project
좋은 의견 모으는데에 실용적일 것 같긴 하다...(물론 한계는 명백..;;;ㅋㅋㅋ)
그래도 이런거 해서 구글에서도 돈 받고 사회학치곤 아주 fancy하구만...-_-;;;
Tuesday, August 23, 2011
optimists vs pessimists
간의 가장 큰 차이는...
안좋은 결과에 대해..
낙관주의자는 그 원인을 일시적인 것으로 보고 (temporary cause)
비관주의자는 영구적 원인이 거기에 깔려있다고 보는 것(permanent cause)
이라 하네...
http://en.wikipedia.org/wiki/Learned_optimism
안좋은 결과에 대해..
낙관주의자는 그 원인을 일시적인 것으로 보고 (temporary cause)
비관주의자는 영구적 원인이 거기에 깔려있다고 보는 것(permanent cause)
이라 하네...
http://en.wikipedia.org/wiki/Learned_optimism
White on learned helplessness
http://en.wikipedia.org/wiki/Learned_helplessness#Extensions
The American sociologist Harrison White has suggested in his book Identity and Control that the notion of learned helplessness can be extended beyond psychology into the realm of social action. When a culture or political identity fails to achieve desired goals, perceptions of collective ability suffer.
The American sociologist Harrison White has suggested in his book Identity and Control that the notion of learned helplessness can be extended beyond psychology into the realm of social action. When a culture or political identity fails to achieve desired goals, perceptions of collective ability suffer.
Sunday, August 21, 2011
아이오와 코커스
아이오와 코커스에 대한 재미있고 정보가 많은 사이트ㅎㅎ:
http://v.daum.net/link/4005492
http://nec1963.tistory.com/91
http://nec1963.tistory.com/115
http://nec1963.tistory.com/214
http://nec1963.tistory.com/262
http://v.daum.net/link/4005492
http://nec1963.tistory.com/91
http://nec1963.tistory.com/115
http://nec1963.tistory.com/214
http://nec1963.tistory.com/262
Evictions in Beijing
Conflict between police and residents erupted in Laogucheng, where residents say they are being unlawfully evicted by real estate developers working and local government.
Filming China's Dark Side
Zhao Liang's films, which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its citizens, have received critical acclaim abroad but are not screened in China.
certainty
Doubt is not a pleasant condition, but certainty is absurd. - Voltaire
10 Of The Craziest Things Michele Bachmann Has Ever Said
http://thinkprogress.org/politics/2011/06/16/246618/bachmann-craziest-quotes/
Our guest blogger is Elon Green, a freelance writer living in Brooklyn.
Earlier this week, Rep. Michele Bachmann (R-MN) announced she had filed the papers to run for President. It’s not a frivolous pursuit: She is extremely well liked by the Republican base and is an unusually effective fundraiser, taking in more dollars in the last election cycle she than any of her Congressional colleagues.
Still, Bachmann’s candidacy is not without potential landmines. Over the last decade, she has taken positions that are dangerous, stemming from her radical ideology. To Bachmann’s credit, she is aware of this, lamenting to Glenn Beck, “I have experienced that throughout my political career, being labeled a kook.”
ThinkProgress has assembled 10 of the nuttiest things Bachmann has ever said:
Our guest blogger is Elon Green, a freelance writer living in Brooklyn.

Still, Bachmann’s candidacy is not without potential landmines. Over the last decade, she has taken positions that are dangerous, stemming from her radical ideology. To Bachmann’s credit, she is aware of this, lamenting to Glenn Beck, “I have experienced that throughout my political career, being labeled a kook.”
ThinkProgress has assembled 10 of the nuttiest things Bachmann has ever said:
(1) BACHMANN WARNED ‘THE LION KING’ WAS GAY PROPAGANDA: At the November 2004 EdWatch National Education Conference, Bachmann said the “normalization” of homosexuality would lead to “desensitization”: “Very effective way to do this with a bunch of second graders, is take a picture of ‘The Lion King’ for instance, and a teacher might say, ‘Do you know that the music for this movie was written by a gay man?’ The message is: I’m better at what I do, because I’m gay.”
(2) BACHMANN CLAIMED ABOLISHING THE MINIMUM WAGE WOULD CREATE JOBS: While testifying in front of the Minnesota Senate in 2005, Bachmann said, “Literally, if we took away the minimum wage — if conceivably it was gone — we could potentially virtually wipe out unemployment completely because we would be able to offer jobs at whatever level.” This isn’t remotely true. Even simply reducing the minimum wage would, as Paul Krugman noted, “at best do nothing for employment; more likely it would actually be contractionary.”
(3) BACHMANN CLAIMED THAT SCIENTISTS ARE SUPPORTERS OF INTELLIGENT DESIGN: During a 2006 debate, Bachmann said, “There are hundreds and hundreds of scientists, many of them holding Nobel Prizes, who believe in intelligent design.” This was, and is, not true.
(4) BACHMANN CLAIMED TERRI SCHIAVO WAS ‘HEALTHY’: Not long after Terri Schiavo died, Bachmann said she would have voted for the Palm Sunday Compromise because Schiavo “was healthy. She had brain damage — there was brain damage, there was no question. But from a health point of view, she was not terminally ill.” An autopsy found that Schiavo had suffered irreversible brain damage and her brain, said the medical examiner, was “profoundly atrophied.”
(5) BACHMANN LIKENED VISITING IRAQ TO VISITING MALL OF AMERICA: In 2007, Bachmann returned from a junket to Iraq and told her colleagues, “[T]here’s a commonality with the Mall of America, in that it’s on that proportion. There’s marble everywhere. The other thing I remarked about was there is water everywhere.” As ThinkProgress documented at the time, the comparison was preposterous.
(6) BACHMANN CLAIMED THAT CARBON DIOXIDE IS ‘HARMLESS’: In 2008, a Stanford scientist revealed “direct links” between increased levels of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and “increases in human mortality” — globally, he found that as many as “20,000 air-pollution-related deaths per year per degree Celsius may be due to this greenhouse gas.” The next year, Bachmann, who is not a scientist, said that “carbon dioxide is portrayed as harmful. But there isn’t even one study that can be produced that shows that carbon dioxide is a harmful gas.”
(7) BACHMANN CALLED FOR A CONGRESSIONAL WITCH HUNT: Pivoting off the news of Barack Obama’s alleged relationship to former Weather Underground member William Ayers, and his former pastor, Rev. Jeremiah Wright, Bachmann accused the candidate of having “anti-American views.” She then suggested that Congressional liberals — including Nancy Pelosi and Harry Reid — ought to be subject to “an exposé” by the media because of their views. “I think people would love to see like that,” she told a stunned Chris Matthews.
(8) BACHMANN SUGGESTED GAY SINGER SHOULD REPENT AFTER GETTING CANCER: Bachmann saw Melissa Etheridge’s cancer as a teachable moment: “Unfortunately she is now suffering from breast cancer, so keep her in your prayers,” she said in November 2004. “This may be an opportunity for her now to be open to some spiritual things, now that she is suffering with that physical disease. She is a lesbian.”
(9) BACHMANN BOASTED ABOUT BREAKING THE LAW: In advance of the 2010 national Census, Bachmann told The Washington Times that she would break the law by not completing the forms. “I know for my family, the only question we will be answering is how many people are in our home,” she said. “We won’t be answering any information beyond that, because the Constitution doesn’t require any information beyond that.”
(10) BACHMANN CLAIMED THAT GLENN BECK COULD SOLVE THE DEBT CRISIS: During a February trip to South Carolina, Bachmann told a South Carolina audience, “I think if we give Glenn Beck the numbers, he can solve this [the national debt].”
Friday, August 19, 2011
상황
시대상황과 학계상황,
두 가지의 상황에 의해 내 공부가 영향을 받는 것 같다.
좋다면 좋고 아니라면 아닌..
두 가지의 상황에 의해 내 공부가 영향을 받는 것 같다.
좋다면 좋고 아니라면 아닌..
Tuesday, August 16, 2011
무상급식
요즘 트위터에만 들어가면 무상급식 얘기가 하도 많이 있어서 계속 노출이 안될수가 없는데...
예전부터 나의 생각은 (전면)무상급식은 차선책이라는 것이다.
최선책은, (기준이 어찌됐든간에)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에게만 지원하되,
학교에서 학부모가 돈을 어떻게 내고, 애들에 대한 정보는 어떻게 거두고 하는 일련의
과정들에서 그 내용이 철저하게 애들간에는 모를 수 밖에 없도록 원천적으로 정보 채널을
통제하는 방식이다.
학교에 급식비 내는 것도 지로나, 계좌이체나 무통장 입금으로만 진행시키고,
학부모와의 연락도 교사가 애들과의 정기 면담을 통해서 하거나 학부모에게 다이렉트로
연락하고... 적절한 젊은(?) 학부모에 해당되는 보호자가 없는 경우에는 그 정보가
계속 그 학생이 진학하는 동안 시스템상으로 inherit되도록 해서 애 귀찮게 할 필요가
없게 하도록 하고... 등등.
쩝...;
보수쪽도 좀 머리가 잘 안돌아간다고 생각되는게, 무상급식에 대해 복지망령이니 망국적
포퓰리즘이니 이런식의 반감 일으키는 레토릭을 쓰느니, 현행 체계를 유지하면서
그 부작용을 원천봉쇄할 수 있는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면 되는 것을....쯧쯧
암튼간에 이런 방식이 잘 현실적으로 이뤄지기 힘들다면,
밥 먹는건 지원해줘야 한다고 본다. ㅆㅂ밥 못먹으면 얼마나 서럽겠나.
예전부터 나의 생각은 (전면)무상급식은 차선책이라는 것이다.
최선책은, (기준이 어찌됐든간에)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에게만 지원하되,
학교에서 학부모가 돈을 어떻게 내고, 애들에 대한 정보는 어떻게 거두고 하는 일련의
과정들에서 그 내용이 철저하게 애들간에는 모를 수 밖에 없도록 원천적으로 정보 채널을
통제하는 방식이다.
학교에 급식비 내는 것도 지로나, 계좌이체나 무통장 입금으로만 진행시키고,
학부모와의 연락도 교사가 애들과의 정기 면담을 통해서 하거나 학부모에게 다이렉트로
연락하고... 적절한 젊은(?) 학부모에 해당되는 보호자가 없는 경우에는 그 정보가
계속 그 학생이 진학하는 동안 시스템상으로 inherit되도록 해서 애 귀찮게 할 필요가
없게 하도록 하고... 등등.
쩝...;
보수쪽도 좀 머리가 잘 안돌아간다고 생각되는게, 무상급식에 대해 복지망령이니 망국적
포퓰리즘이니 이런식의 반감 일으키는 레토릭을 쓰느니, 현행 체계를 유지하면서
그 부작용을 원천봉쇄할 수 있는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면 되는 것을....쯧쯧
암튼간에 이런 방식이 잘 현실적으로 이뤄지기 힘들다면,
밥 먹는건 지원해줘야 한다고 본다. ㅆㅂ밥 못먹으면 얼마나 서럽겠나.
Tuesday, August 9, 2011
It's not a budget problem, but a...
problem of insanity.
http://www.nytimes.com/2011/08/08/opinion/credibility-chutzpah-and-debt.html?_r=1&src=me&ref=general
나는 궁금하다. 또 묻고 싶다.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되는 수많은 미국사람들의 티파티 지지와 엄청난 부자감세에 대한 지지등은 어디에서 오는가?
또 누가 댓글에서 잘 지적했듯이, 크루그먼이 너무 budget deficit을 아무렇지도 않게 얘기하는데 좀 이상하다... federal deficit뿐 아니라 state 들의 debt까지 보면 미국은 지금 낼 모레 몰락한다고 해도 (이미 많은 주들이 몰락했지만) 별로 이상하지가 않다.
http://www.nytimes.com/2011/08/08/opinion/credibility-chutzpah-and-debt.html?_r=1&src=me&ref=general
나는 궁금하다. 또 묻고 싶다.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되는 수많은 미국사람들의 티파티 지지와 엄청난 부자감세에 대한 지지등은 어디에서 오는가?
또 누가 댓글에서 잘 지적했듯이, 크루그먼이 너무 budget deficit을 아무렇지도 않게 얘기하는데 좀 이상하다... federal deficit뿐 아니라 state 들의 debt까지 보면 미국은 지금 낼 모레 몰락한다고 해도 (이미 많은 주들이 몰락했지만) 별로 이상하지가 않다.
The end of...
(주의:요점 없는 글임)
세상에 많은 종류의 The End...시리즈가 있지만
The end of philosophy만큼 무게감 있는 것도 없을 것이다.
후쿠야마가 The End of History를 썼던 것이 1992년.
2009년엔 David Brooks가 The End of Philosophy라는 칼럼을 썼음.
http://www.nytimes.com/2009/04/07/opinion/07Brooks.html?scp=1&sq=The%20End%20of%20Philosophy&st=cse
데이빗 브룩스는 물론 직업은 칼럼니스트 (NYT에서 어중띤 정치적 입장으로 포지셔닝된) 지만
그의 천성의 1/3쯤은 학자인 것 같다. 각설하고,
저 칼럼에서 moral psychologists, cognitive psychologists들의 발견들을 근거로
도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철학의 역할은 종말이 다가왔다는 거의 진화심리학자가 다 되어 이야기한다.
진화심리학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나는 그 별로 거부감 안들음. 문제는 사회학 하는 사람은
"가급적"이면 싫어해야하는게 맞음...ㅋㅋ 성별로 다른 심리적 장치가 태생적으로 장착되어 있다고
하는 sexist한 입장은 사회학자는 "도의적"으로 거부해야하는 거임..ㅎ
세상에 많은 종류의 The End...시리즈가 있지만
The end of philosophy만큼 무게감 있는 것도 없을 것이다.
후쿠야마가 The End of History를 썼던 것이 1992년.
2009년엔 David Brooks가 The End of Philosophy라는 칼럼을 썼음.
http://www.nytimes.com/2009/04/07/opinion/07Brooks.html?scp=1&sq=The%20End%20of%20Philosophy&st=cse
데이빗 브룩스는 물론 직업은 칼럼니스트 (NYT에서 어중띤 정치적 입장으로 포지셔닝된) 지만
그의 천성의 1/3쯤은 학자인 것 같다. 각설하고,
저 칼럼에서 moral psychologists, cognitive psychologists들의 발견들을 근거로
도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철학의 역할은 종말이 다가왔다는 거의 진화심리학자가 다 되어 이야기한다.
진화심리학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나는 그 별로 거부감 안들음. 문제는 사회학 하는 사람은
"가급적"이면 싫어해야하는게 맞음...ㅋㅋ 성별로 다른 심리적 장치가 태생적으로 장착되어 있다고
하는 sexist한 입장은 사회학자는 "도의적"으로 거부해야하는 거임..ㅎ
지방 정부 부채
미국만 문제가 아님.
http://www.google.com/search?sourceid=chrome&ie=UTF-8&q=%EC%A7%80%EB%B0%A9+%EC%A0%95%EB%B6%80+%EB%B6%80%EC%B1%84#q=%EC%A7%80%EB%B0%A9+%EC%A0%95%EB%B6%80+%EB%B6%80%EC%B1%84&hl=en&safe=off&prmd=ivns&ei=d5xBTp75BJChtwetg-W5CQ&start=0&sa=N&fp=1&biw=1333&bih=645&bav=on.2,or.r_gc.r_pw.r_cp.&cad=b
http://www.google.com/search?sourceid=chrome&ie=UTF-8&q=%EC%A7%80%EB%B0%A9+%EC%A0%95%EB%B6%80+%EB%B6%80%EC%B1%84#q=%EC%A7%80%EB%B0%A9+%EC%A0%95%EB%B6%80+%EB%B6%80%EC%B1%84&hl=en&safe=off&prmd=ivns&ei=d5xBTp75BJChtwetg-W5CQ&start=0&sa=N&fp=1&biw=1333&bih=645&bav=on.2,or.r_gc.r_pw.r_cp.&cad=b
State Budgets Day of Reckoning (CBS News)
20101219 (60 minutes) State Budgets Day of Reckoning (CBS News)
차이코프스키5번 므라빈스키 영상
므라빈스키와 레닌그라드 필하모니의 1973년 연주
Saturday, August 6, 2011
몸과 머리
가끔씩 생각을 너무 많이 할 때나, 특히 글을 쓸때 (영어로)
몸까지 동원해서 생각을 하다보니 몸도 쑤시고 별로 안좋은 것 같다.
생각은 철저히 머리 끝에서만 미뤄지고 내 몸과는 별개로 빠르게 전개되도록 해야겠다. 별 것도 아닌데 몸으로도 생각하다보면 지치는 것 같기도 하고 생각이 빨리 전개되지도 않는듯.
....
말이 되는 얘긴지는 모르겠으나 저렇게 생각하는게 개인적으로는 실제로 효과가 있다...ㅎ
몸까지 동원해서 생각을 하다보니 몸도 쑤시고 별로 안좋은 것 같다.
생각은 철저히 머리 끝에서만 미뤄지고 내 몸과는 별개로 빠르게 전개되도록 해야겠다. 별 것도 아닌데 몸으로도 생각하다보면 지치는 것 같기도 하고 생각이 빨리 전개되지도 않는듯.
....
말이 되는 얘긴지는 모르겠으나 저렇게 생각하는게 개인적으로는 실제로 효과가 있다...ㅎ
Wednesday, August 3, 2011
中 도시빈민 5천만명[사회과학원]
http://china.joins.com/portal/article.do?method=detail&total_id=5904634&
========
중국의 도시빈민이 5천만명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 사회과학원은 3일 '성시청서'(城市藍皮書)를 통해 도시지역 주민 가운데 빈곤층이 5천만명에 달한다고 밝혔다고 문회보(文匯報), 명보(明報) 등 홍콩신문들이 4일 보도했다.
성시청서는 2010년 '중국 통계연감'을 인용해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중국인이 6억2천186만명에 달하며, 도시주민의 연간 평균소득이 1만7천175위안이라고 밝혔다.
성시청서는 도시주민 가운데 7.5∼8,5%가 연간 소득이 7천500∼8천500위안 수준의 빈곤층이며, 빈곤층의 인구는 약 5천만명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성시청서는 1990년대 후반 이후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도시빈민의 수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성시청서는 농민공 시민화, 주택가격 급등, 대도시 교통난, 사회보장제도 미비, 도시빈민 등을 중국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꼽았다. (연합뉴스)
=============
중국 인구 약 절반이 도시에 사는데 (계산하면 대략 6억명?)
6억 중의 5천만이면...9%좀 안되는건데... 저 정도면 많긴 많구나.
역시 시골보다도 도시가 더 문제인건가.
========
중국의 도시빈민이 5천만명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 사회과학원은 3일 '성시청서'(城市藍皮書)를 통해 도시지역 주민 가운데 빈곤층이 5천만명에 달한다고 밝혔다고 문회보(文匯報), 명보(明報) 등 홍콩신문들이 4일 보도했다.
성시청서는 2010년 '중국 통계연감'을 인용해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중국인이 6억2천186만명에 달하며, 도시주민의 연간 평균소득이 1만7천175위안이라고 밝혔다.
성시청서는 도시주민 가운데 7.5∼8,5%가 연간 소득이 7천500∼8천500위안 수준의 빈곤층이며, 빈곤층의 인구는 약 5천만명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성시청서는 1990년대 후반 이후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도시빈민의 수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성시청서는 농민공 시민화, 주택가격 급등, 대도시 교통난, 사회보장제도 미비, 도시빈민 등을 중국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꼽았다. (연합뉴스)
=============
중국 인구 약 절반이 도시에 사는데 (계산하면 대략 6억명?)
6억 중의 5천만이면...9%좀 안되는건데... 저 정도면 많긴 많구나.
역시 시골보다도 도시가 더 문제인건가.
Tuesday, August 2, 2011
my wikipedia - master list
A
http://en.wikipedia.org/wiki/American_football
http://en.wikipedia.org/wiki/Amartya_Sen
http://en.wikipedia.org/wiki/April_Revolution
http://en.wikipedia.org/wiki/Anti-Stalinist_left
B
http://en.wikipedia.org/wiki/Big_Five_(orchestras)
http://en.wikipedia.org/wiki/Belief
http://en.wikipedia.org/wiki/Bayesian_cognitive_science
http://en.wikipedia.org/wiki/Brittany
C
http://en.wikipedia.org/wiki/Casserole
http://en.wikipedia.org/wiki/Taiwan_New_Wave#Taiwan.27s_New_Wave_Cinema_.281982.E2.80.93.29
http://en.wikipedia.org/wiki/Criticism_of_evolutionary_psychology
D
http://en.wikipedia.org/wiki/David_Hume
http://en.wikipedia.org/wiki/Diwali
http://en.wikipedia.org/wiki/Distance_standard_deviation
E
http://en.wikipedia.org/wiki/Evolutionary_psychology
http://en.wikipedia.org/wiki/Norbert_Elias
F
http://en.wikipedia.org/wiki/French_New_Wave
http://en.wikipedia.org/wiki/Figurational_Sociology
http://en.wikipedia.org/wiki/Federalist_No._10
G
http://en.wikipedia.org/wiki/Granger_causality
H
http://en.wikipedia.org/wiki/Hofstadter's_law
I
http://en.wikipedia.org/wiki/Italian_Neorealism
J
http://en.wikipedia.org/wiki/Joyce_Chen
http://en.wikipedia.org/wiki/James_Fallows
K
http://en.wikipedia.org/wiki/Kraken
L
http://en.wikipedia.org/wiki/Left-wing_nationalism
http://en.wikipedia.org/wiki/Liberal_paradox
http://en.wikipedia.org/wiki/Learned_helplessness#Extensions
http://en.wikipedia.org/wiki/Lectures_on_Aesthetics
M
http://en.wikipedia.org/wiki/Mercantilism
N
http://en.wikipedia.org/wiki/New_England_Patriots
http://en.wikipedia.org/wiki/New_Labour#.22New_Labour.22_.E2.80.93_in_government_.281997.E2.80.932010.29
http://en.wikipedia.org/wiki/New_Democrats
O
http://en.wikipedia.org/wiki/Optimism_bias
http://en.wikipedia.org/wiki/Occitania
P
http://en.wikipedia.org/wiki/Parkinson%27s_Law
http://en.wikipedia.org/wiki/Progressive_metal
R
http://en.wikipedia.org/wiki/Rote_learning
http://en.wikipedia.org/wiki/Ratatouille
http://en.wikipedia.org/wiki/Test-retest_reliability (= http://en.wikipedia.org/wiki/Repeatability)
S
http://en.wikipedia.org/wiki/Supply-side_economics
http://en.wikipedia.org/wiki/Intra-individual_variability#Sources_of_statistical_dispersion
T
http://en.wikipedia.org/wiki/Theory_of_mind
W
http://en.wikipedia.org/wiki/The_Wisdom_of_Crowds
한글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B%B3%91%EC%9A%B0
http://en.wikipedia.org/wiki/American_football
http://en.wikipedia.org/wiki/Amartya_Sen
http://en.wikipedia.org/wiki/April_Revolution
http://en.wikipedia.org/wiki/Anti-Stalinist_left
B
http://en.wikipedia.org/wiki/Big_Five_(orchestras)
http://en.wikipedia.org/wiki/Belief
http://en.wikipedia.org/wiki/Bayesian_cognitive_science
http://en.wikipedia.org/wiki/Brittany
C
http://en.wikipedia.org/wiki/Casserole
http://en.wikipedia.org/wiki/Taiwan_New_Wave#Taiwan.27s_New_Wave_Cinema_.281982.E2.80.93.29
http://en.wikipedia.org/wiki/Criticism_of_evolutionary_psychology
D
http://en.wikipedia.org/wiki/David_Hume
http://en.wikipedia.org/wiki/Diwali
http://en.wikipedia.org/wiki/Distance_standard_deviation
E
http://en.wikipedia.org/wiki/Evolutionary_psychology
http://en.wikipedia.org/wiki/Norbert_Elias
F
http://en.wikipedia.org/wiki/French_New_Wave
http://en.wikipedia.org/wiki/Figurational_Sociology
http://en.wikipedia.org/wiki/Federalist_No._10
G
http://en.wikipedia.org/wiki/Granger_causality
H
http://en.wikipedia.org/wiki/Hofstadter's_law
I
http://en.wikipedia.org/wiki/Italian_Neorealism
J
http://en.wikipedia.org/wiki/Joyce_Chen
http://en.wikipedia.org/wiki/James_Fallows
K
http://en.wikipedia.org/wiki/Kraken
L
http://en.wikipedia.org/wiki/Left-wing_nationalism
http://en.wikipedia.org/wiki/Liberal_paradox
http://en.wikipedia.org/wiki/Learned_helplessness#Extensions
http://en.wikipedia.org/wiki/Lectures_on_Aesthetics
M
http://en.wikipedia.org/wiki/Mercantilism
N
http://en.wikipedia.org/wiki/New_England_Patriots
http://en.wikipedia.org/wiki/New_Labour#.22New_Labour.22_.E2.80.93_in_government_.281997.E2.80.932010.29
http://en.wikipedia.org/wiki/New_Democrats
O
http://en.wikipedia.org/wiki/Optimism_bias
http://en.wikipedia.org/wiki/Occitania
P
http://en.wikipedia.org/wiki/Parkinson%27s_Law
http://en.wikipedia.org/wiki/Progressive_metal
R
http://en.wikipedia.org/wiki/Rote_learning
http://en.wikipedia.org/wiki/Ratatouille
http://en.wikipedia.org/wiki/Test-retest_reliability (= http://en.wikipedia.org/wiki/Repeatability)
S
http://en.wikipedia.org/wiki/Supply-side_economics
http://en.wikipedia.org/wiki/Intra-individual_variability#Sources_of_statistical_dispersion
T
http://en.wikipedia.org/wiki/Theory_of_mind
W
http://en.wikipedia.org/wiki/The_Wisdom_of_Crowds
한글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B%B3%91%EC%9A%B0
Like a rolling stone
유학와서 가장 '충격'적으로 접했던 음악/뮤직비디오라면 바로 이것일 듯...
원래 있던 유투브 비디오는 없어졌는데 누군가가 고맙게도 새로 업로드 해줬다...
물론 밥 딜런은 가사를 알고 들어야 .....
Bob Dylan - Like A Rolling Stone
Once upon a time you dressed so fine
You threw the bums a dime in your prime, didn't you ?
People'd call, say, "Beware doll, you're bound to fall"
You thought they were all kiddin' you
You used to laugh about
Everybody that was hangin' out
Now you don't talk so loud
Now you don't seem so proud
About having to be scrounging for your next meal.
How does it feel
How does it feel
To be without a home
Like a complete unknown
Like a rolling stone ?
You've gone to the finest school all right, Miss Lonely
But you know you only used to get juiced in it
And nobody has ever taught you how to live on the street
And now you find out you're gonna have to get used to it
You said you'd never compromise
With the mystery tramp, but know you realize
He's not selling any alibis
As you stare into the vacuum of his eyes
And say do you want to make a deal?
How does it feel
How does it feel
To be on your own
With no direction home
Like a complete unknown
Like a rolling stone ?
You never turned around to see the frowns on the jugglers and the clowns
When they all come down and did tricks for you
You never understood that it ain't no good
You shouldn't let other people get your kicks for you
You used to ride on the chrome horse with your diplomat
Who carried on his shoulder a Siamese cat
Ain't it hard when you discover that
He really wasn't where it's at
After he took from you everything he could steal.
How does it feel
How does it feel
To be on your own
With no direction home
Like a complete unknown
Like a rolling stone ?
Princess on the steeple and all the pretty people
They're drinkin', thinkin' that they got it made
Exchanging all precious gifts
But you'd better take your diamond ring, you'd better pawn it babe
You used to be so amused
At Napoleon in rags and the language that he used
Go to him now, he calls you, you can't refuse
When you got nothing, you got nothing to lose
You're invisible now, you got no secrets to conceal.
How does it feel
How does it feel
To be on your own
With no direction home
Like a complete unknown
Like a rolling stone ?
Monday, August 1, 2011
Economist's article on inequality in China
http://www.economist.com/blogs/freeexchange/2011/05/inequality_china?fsrc=scn/tw/te/bl/obrotherwhereartthou
focusing in opportunity inequality!
focusing in opportunity inequality!
Income gap rings alarm
http://china.globaltimes.cn/society/2010-05/535803.html
A plan to curb the yawning wealth distribution will be drafted, according to officials with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 (NDRC) who declined to give a timetable. The efforts come as experts warn that the nation can ill-afford a growing disparity in earnings.
Such a plan could be written into the country’s next Five- Year Plan for 2011-15, according to the 21st Century Business Herald newspaper.
State media outlets have featured intensive coverage on the issue, with the latest report appearing Tuesday in the overseas edition of People’s Daily, which commented that China is faced with a growing income gap and an accompanying sense of social inequality despite a steady growth since the 1980s in the national average salary.
...
..
Yang Yiyong, director of the Social Development Research Department at the NDRC, warned that China can't afford any further rises in the Gini Index, as growing disparity could result in social unrest and "could even cause distrust in the country's public-ownership economic system."
"Social problems, including migrant workers consecutively taking their lives and serial attacks on schoolchildren, are related to conflicts stemming from the income gap," Yang said.
Yang's words referred to seven unrelated attacks on primary school and kindergarten students in less than two months, in which more than a dozen children were killed. Also this week, the number of apparent suicides at Taiwanese company Foxconn hit 10.
The rural-urban income gap constituted a major part in the overall gap, Yang said, urging the free mobilization of labor and the implementation of equal pay for equal work, both of which are hindered by the current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or hukou.
People's Daily reported that the existing hukou system has helped push up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Citizens with rural hukou cannot generally enjoy the same social benefits as urban residents, even though they live and work in cities.
A plan to curb the yawning wealth distribution will be drafted, according to officials with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 (NDRC) who declined to give a timetable. The efforts come as experts warn that the nation can ill-afford a growing disparity in earnings.
Such a plan could be written into the country’s next Five- Year Plan for 2011-15, according to the 21st Century Business Herald newspaper.
State media outlets have featured intensive coverage on the issue, with the latest report appearing Tuesday in the overseas edition of People’s Daily, which commented that China is faced with a growing income gap and an accompanying sense of social inequality despite a steady growth since the 1980s in the national average salary.
...
..
Yang Yiyong, director of the Social Development Research Department at the NDRC, warned that China can't afford any further rises in the Gini Index, as growing disparity could result in social unrest and "could even cause distrust in the country's public-ownership economic system."
"Social problems, including migrant workers consecutively taking their lives and serial attacks on schoolchildren, are related to conflicts stemming from the income gap," Yang said.
Yang's words referred to seven unrelated attacks on primary school and kindergarten students in less than two months, in which more than a dozen children were killed. Also this week, the number of apparent suicides at Taiwanese company Foxconn hit 10.
The rural-urban income gap constituted a major part in the overall gap, Yang said, urging the free mobilization of labor and the implementation of equal pay for equal work, both of which are hindered by the current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or hukou.
People's Daily reported that the existing hukou system has helped push up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Citizens with rural hukou cannot generally enjoy the same social benefits as urban residents, even though they live and work in cities.
The Most Interesting Ten Types of People in China
The following post is making the rounds of Chinese cyberspace. Translated by Yuanxi Huang:
http://chinadigitaltimes.net/2010/10/the-most-interesting-ten-types-of-people-in-china/
9. The most pathetic Chinese are farmers. In fact the IQ of rural farmers is no lower than urban citizens. Their shrewdness is definitely worthy of respect. Yet they can only struggle for a position of an annual income of over 100 RMB—the village head. Chinese farmers are born with a special identity. To get rid of this identity, they have to pay the price for their whole lives.
最可怜的中国人是农民:其实山村乡民的智商并不比城里人低,其精明程度绝对让人佩服。可他们却只能为一个年薪?只有一百多元的村长的职位而争斗。中国的农民一生下来就有了一种特殊的身份,为了抛弃这个身份,他们甚至要花去一生的精力。
http://chinadigitaltimes.net/2010/10/the-most-interesting-ten-types-of-people-in-china/
9. The most pathetic Chinese are farmers. In fact the IQ of rural farmers is no lower than urban citizens. Their shrewdness is definitely worthy of respect. Yet they can only struggle for a position of an annual income of over 100 RMB—the village head. Chinese farmers are born with a special identity. To get rid of this identity, they have to pay the price for their whole lives.
最可怜的中国人是农民:其实山村乡民的智商并不比城里人低,其精明程度绝对让人佩服。可他们却只能为一个年薪?只有一百多元的村长的职位而争斗。中国的农民一生下来就有了一种特殊的身份,为了抛弃这个身份,他们甚至要花去一生的精力。
"Amid China's economic transformation, many farmers struggle"
http://www.latimes.com/business/la-fi-china-farming-20110707,0,2836392.story
A cabbage grower's suicide draws attention to the plight of 200 million Chinese farming households, many of which struggle to earn a profit even as global food prices rise...
Still, with global food prices rising, particularly in China's cities, conventional wisdom had it that Chinese growers must be enjoying a windfall. After all, some U.S. farmers are profiting handsomely selling pork, soybeans, nuts and other agricultural products to hungry Chinese buyers.
But in contrast to large, highly mechanized American farms, a typical Chinese farm is less than an acre in size and worked by hand. It's a legacy of communist reform, when the state seized control of China's farmland and subdivided it into tiny plots. Although this system has kept rural dwellers employed, it has slowed China's ability to boost their incomes.
Chinese farmers don't have crop insurance to protect them against disaster; government subsidies are minimal. Because they don't own their land, growers can't borrow against it and have little incentive to improve operations. Reliable market forecasts are hard to come by, leaving farmers to speculate about what to plant. Poor roads in many parts of the countryside force growers to sell their harvests locally or to middlemen who pocket much of the markup paid by city dwellers. Add rising costs for labor, seed, fertilizer and fuel, and many producers are seeing their profits squeezed even as retail prices soar.
"No one is going to get rich off farming," said Scott Rozelle, an expert on China's rural economy at Stanford University. "It's not going to happen until farm sizes get bigger. That's why millions of people are moving to the cities."
...
...
A cabbage grower's suicide draws attention to the plight of 200 million Chinese farming households, many of which struggle to earn a profit even as global food prices rise...
Still, with global food prices rising, particularly in China's cities, conventional wisdom had it that Chinese growers must be enjoying a windfall. After all, some U.S. farmers are profiting handsomely selling pork, soybeans, nuts and other agricultural products to hungry Chinese buyers.
But in contrast to large, highly mechanized American farms, a typical Chinese farm is less than an acre in size and worked by hand. It's a legacy of communist reform, when the state seized control of China's farmland and subdivided it into tiny plots. Although this system has kept rural dwellers employed, it has slowed China's ability to boost their incomes.
Chinese farmers don't have crop insurance to protect them against disaster; government subsidies are minimal. Because they don't own their land, growers can't borrow against it and have little incentive to improve operations. Reliable market forecasts are hard to come by, leaving farmers to speculate about what to plant. Poor roads in many parts of the countryside force growers to sell their harvests locally or to middlemen who pocket much of the markup paid by city dwellers. Add rising costs for labor, seed, fertilizer and fuel, and many producers are seeing their profits squeezed even as retail prices soar.
"No one is going to get rich off farming," said Scott Rozelle, an expert on China's rural economy at Stanford University. "It's not going to happen until farm sizes get bigger. That's why millions of people are moving to the cities."
...
...
중심
아주 이타적인 삶을 살다간 두 분에 대한 다큐를 (다시) 보았다. (기본적으로 종교인들이심...)
기가막힌 중심이 있으셨던 분들이었다.
내가 계속 찾고자 하는 것도 그런 중심이다. 그게 없으니 세상 모든 것이, 그리고 삶의 모든 것이 신기루처럼 느껴질 뿐이라...
기가막힌 중심이 있으셨던 분들이었다.
내가 계속 찾고자 하는 것도 그런 중심이다. 그게 없으니 세상 모든 것이, 그리고 삶의 모든 것이 신기루처럼 느껴질 뿐이라...
Friday, July 29, 2011
이성 vs 믿음
믿음은 이성의 영역이 아닌가...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믿음의 영역과 이성의 영역은 구분될 수 있는가.
여기에 대한 나의 natural response는,
믿음과 이성의 생리학적 기제를 이해해야 나올 수 있는 대답이라는 것이라는 생각...
여기에 대해서는 워낙 많은 연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에 지금 쉽사리 정리하지는 못하겠다.
(지금 주문해놓고 기다리고 있는 책: On Being Certain: Believing You Are Right Even When You're Not)
(저자의 구글 강연)
어쨌든 나의 기본적 stance는, '믿음'이라는게 있고 (혹은 '믿음의 영역') '이성'의 영역이라는게
따로, 우리 바깥에 원래부터 존재하는 독립적 영역이 아니라,
믿음과 이성적 추론이 서로 다른 생리적, 신경 메커니즘을 통해 머릿속에서 생산된다는 것이다.
이 부분은 현재의 과학에서는 조금도 부정할 수 없는 완벽한 사실..
(한완상씨의 인터뷰를 보다 들은 생각...)
믿음의 영역과 이성의 영역은 구분될 수 있는가.
여기에 대한 나의 natural response는,
믿음과 이성의 생리학적 기제를 이해해야 나올 수 있는 대답이라는 것이라는 생각...
여기에 대해서는 워낙 많은 연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에 지금 쉽사리 정리하지는 못하겠다.
(지금 주문해놓고 기다리고 있는 책: On Being Certain: Believing You Are Right Even When You're Not)
(저자의 구글 강연)
어쨌든 나의 기본적 stance는, '믿음'이라는게 있고 (혹은 '믿음의 영역') '이성'의 영역이라는게
따로, 우리 바깥에 원래부터 존재하는 독립적 영역이 아니라,
믿음과 이성적 추론이 서로 다른 생리적, 신경 메커니즘을 통해 머릿속에서 생산된다는 것이다.
이 부분은 현재의 과학에서는 조금도 부정할 수 없는 완벽한 사실..
(한완상씨의 인터뷰를 보다 들은 생각...)
Wednesday, July 27, 2011
Don't wash George Clooney's sweater!
Don't wash George Clooney's sweater! LMAO!
Thursday, July 14, 2011
H.Miller의 'Guide to Classical Music'
내 수준은 어디에 있는가?ㅋ
고클에서 퍼온 글...
============================================================
♣ 어떤 곡을 어떻게 들어야 하나? 초급부터 ~ 상급까지
아래의 글은 음악동아에 연재된 글로써...(보완: 실은 H.Miller의 'Guide to Classical Music'이라는 음악동아 별책부록을 정리한 것임:arioso) 사실 저도 아직 못 들은 곡이 많으며 저 역시도 많은 도움을 얻고 있지요.....
다음 안내는 어떤 곡을 어떻게 들어야 하는가 하는 것이 중점입니다. 같은 곡도 여러 가지 관점에서 들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긴 글이 다소의 길잡이가 된다면 좋겠습니다.
Ⅰ. 초 급
완전한 안내를 위하여 전혀 모르는 사람도 출발할 수 있도록 곡을 골랐습니다. 게시판에서나 주위 사람들에게 조언을 청하며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Ⅰ-1) 완전 초급;
전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한 단계입니다. 우선 선율 좋고 아름다운, 듣기 편한 곡을 골랐습니다. 자신 있으신 분은 생략해도 상관없습니다.
알비노니; 아다지오
바흐; 관현악 모음곡 3번 중 에어(G선상의 아리아)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4번 c#단조 "월광" 중 1악장
브람스; 헝가리 무곡 5,6번
쇼팽; 환상즉흥곡
그리그; "페르 귄트" 모음곡 1번 중 '오제의 죽음', '산 마왕의 궁전'
헨델; "메시아" 중 '할렐루야 코러스'
하이든; 교향곡 94번 G장조 '놀람' 중 2악장, 트럼펫 협주곡 Eb장조 중 3악장
크라이슬러; 사랑의 기쁨
모차르트; 교향곡 40번 g단조 중 1악장, 피아노 협주곡 21번 C장조 중 2악장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전악장, 피가로의 결혼 서곡,
오펜바흐; '천국과 지옥' 서곡
파헬벨; 카논
로드리고; '아랑훼즈 협주곡' 중 2악장
로시니; '세빌랴의 이발사' 서곡
사라사테; 치고이네르바이젠
J.슈트라우스(1세); 라데츠키 행진곡
J.슈트라우스(2세);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피치카토 폴카
차이코프스키; 발레곡 '백조의 호수' 중 정경, 안단테 칸타빌레
비발디; 바이얼린 협주곡 '사계' 중 '봄' 전악장
바그너; 악극 "발퀴레" 중 '발퀴레의 말타기'
Ⅰ-2) 초급(中);
위의 곡들 정도는 자신이 있으시다면, 이 단계로 오셔서 조금씩 생각하시면서 음악을 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부터는 교향곡이나 소나타 등의 전악장을 조금씩 듣기 시작하셔도 좋을 것입니다. 악장 간의 대비, 빠르기의 구성 등에 신경쓰시면 음악감상이 훨씬 더 재미있을 것입니다. 여러가지 악기의 음색 등을 익히시면 좋습니다.
앞으로부터는 (이 글을 기준으로 음악을 들으실 경우) 단계를 건너뛰지 않으시는 편이 좋습니다.
바버; 현을 위한 아다지오
바흐; 관현악 모음곡 2번 b단조 중 폴로네즈, 메누엣, 바디네리
토카타와 푸가 d단조, BWV.565
칸타타 147번 중 코랄 10번 '예수, 사람의 희망과 기쁨'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8번 c단조 "비창", 에그몬트 서곡
베를리오즈; 라코치 행진곡
비제; "카르멘" 모음곡 중 1막 전주곡, 4막 간주곡
브람스; 대학 축전 서곡
쇼팽; 왈츠 1번 Eb장조 '화려한 대 원무곡', 7번 c#단조
드뷔시; 전주곡 1집 중 8곡 '아마빛 머리의 소녀'
"어린이 차지" 중 6곡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
드보르작; 교향곡 9번 e단조, '신세계에서'
엘가; '위풍당당' 행진곡 1번
글룩; 오페라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중 '정령의 춤'
하이든; 교향곡 101번 D장조 '시계'
리스트; 헝가리 환상곡, 사랑의 꿈
마스카니;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간주곡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모차르트; 오페라 "마술 피리" 서곡, "코지 판 투테" 서곡
디베르티메토 17번 D장조 중 3악장 메누엣
플루트와 하프를 위한 협주곡 C장조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중 18변주
라벨; 볼레로,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생상스; 모음곡 '동물의 사육제' 중 '백조'
슈베르트; 교향곡 8번 b단조 '미완성'
스메타나; 교향시 "나의 조국" 중 2번 '몰다우'
타레가;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비발디; "사계" 중 '여름','겨울'
Ⅰ-3) 초급(上);
윗 단계를 2/3 이상 해결하신 분께서는 중급으로 가시기 전 마지막 예비 단계로 여기를 다 들으십시오. 중급에서는 형식에 대해 약간식 알기 시작하실 텐데, 그 전에 각 악기의 음색을 이해하고 중급으로 가시는 것이 좋으실 것입니다. 이 단계는 각 악기의 음색 식별을 위한 단계입니다.
여러분게서는 아마 바이올린과 피아노, 첼로와 플루트의 소리는 쉽게 구별하실 수 있을 거입니다. 모든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들의 음색을 구별하기는 사실 매우 어렵지만, 많이 들을 수 있는 악기들의 음색만이라도 식별하신다면, 음악 감상의 즐거움은 크게 늘어날 것입니다. 고전음악의 큰 매력은 여러 악기들의 음색 차에서 오는 다양성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D장조(바이올린,플루트,쳄발로의 독주)
코랄 "눈 뜨라고 부르는 소리 있도다"(오르간)
베토벤; 교향곡 5번 c단조, '코리올란' 서곡(관현악)
바이올린 소나타 5번 F장조 '봄'(바이올린과 피아노)
비제; '아를르의 여인' 제 1 조곡 중 전주곡(현악 합주)
브람스; 교향곡 3번 F장조 3악장(호른과 오보에의 독주)
현악 6중주곡 1번 Bb장조 중 2악장(현악기 실내악곡)
브리튼; '심플 심포니'중 2악장(현의 피치카토-손가락으로 퉁기기)
쇼팽; 폴로네즈 3번 A장조 '군대',6번 Ab장조 '영웅'(피아노의 음색)
치마로자; 오보에 협주곡 c단조(오보에의 음색)
드뷔시; '목신의 오후' 전주곡(첫 플루트 독주와 하프의 글리산도)
전주곡집 1권 중 3,4,10번(피아노의 음색)
드보르작; 슬라브 무곡 1,3,7,10번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사이렌 소리 같은 클라리넷 독주)
파리의 미국인(경적 소리)
글린카; '루슬란과 루드밀라' 서곡
헨델; '왕궁의 불꽃놀이' (여러 금관악기의 음색)
하이든; 첼로 협주곡 D장조(첼로의 넓은 음역)
교향곡 100번 G장조 '군대' 중 2악장(트럼펫 신호, 여러 타악기)
멘델스존; 교향곡 4번 A장조 '이탈리아' 중 1악장
메르카단테; 플루트 협주곡 e단조 중 3악장
모차르트; 교향곡 40번 g단조 중 3악장(호른, 플루트 등 관의 독주)
바이올린 협주곡 3번 G장조 중 2악장(약음기를 낀 현)
클라리넷 5중주곡 A장조
피아노 소나타 11번 A장조(3악장의 행진곡)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라벨 편곡(관현악법이 매우 다채로움)
라벨; 볼레로(색소폰까지도 포함한 관악기의 다양한 독주)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중 '코끼리'(더블 베이스)
슈만; 어린이 정경(피아노의 효과)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 인형"중 '별사탕의 춤'(첼레스타의 독주)
--------------------------------------------------------------------------------
Ⅱ. 중 급
초급에 나온 곡중 2/3 이상을 재미있게 들을 수 있고, 또 어느 정도 각 악기의 음색이 귀에 익으면 중급으로 오실 수 있습니다. 음색 익히는 덴 좀 시간이 필요하실 것입니다.
중급에서는 고전음악의 형식과 구조에 대해서 조금씩 다루려고 합니다. 지금까지는 거의 기악곡만 들었는데, 성악곡도 조금씩 이제 넣겠습니다. (물론, 사람의 목소리를 좋아하시는 분은 성악부터 출발해도 상관없습니다). 글 쓰는 것이나 그림에 일정한 '틀'이 있듯이, 음악도 마찬가지입니다.
시대에 따른 음악 '틀(양식)'의 변화나, 형식, 구조를 알면 고전음악의 이해에 큰 도움이 됩니다. 구조가 없는 고전음악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초보자 여러분, 초급의 中, 上 수준의 음악을 열심히 들으시도록 권합니다. 그 부분만 열심히 들으셔도 대부분의 다른 대학생들보다 많이 들으신 것입니다. 자신이 붙으면, 중급에서도 별 무리가 없으실 것입니다.
Ⅱ-1) 중급(下);
악기에 따른 음색의 차를 계속 익히시면서, 형식과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 초급(上)의 연장선 위에 잇습니다. 구조와 형식의 이해는 여기 있는 곡 뿐 아니라 초급에 실린 곡도 해 보시는 것이 좋음은 물론입니다.
바흐; 이탈리아 협주곡 F장조, BWV.971(쳄발로)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d단조
환상곡과 푸가 F장조, BWV.540(오르간,푸가의 돌림노래 구조)
베토벤; 교향곡 6번 F장조 "전원"(각 악장의 형식과,2악장 끝의 새소리)
피아노 협주곡 5번 Eb장조 '황제'(협주곡의 구조)
바이올린 소나타 9번 A장조 '크로이처'
비제; 오페라 "카르멘" 발췌(성악) 보케리니; 첼로 협주곡 Bb장조
브람스; 교향곡 2번 D장조 3악장(첫 오보에 독주)
하이든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 (주제와 변주)
브리튼;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入門
(완벽한 악기 해설곡이자 변주곡과 푸가를 구성하는 곡이다)
브루흐; 바이올린 협주곡 1번 g단조(첫 바이올린 독주)
쇼팽; 스케르초(대체로 세 부분으로 구성)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 b단조(구성)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a단조, '페르 귄트' 1,2조곡
헨델; 수상 음악(모음곡)
하이든; 현악 4중주곡 67번 D장조 '종달새'(현 4중주의 음향)
리스트; 전주곡 (교향시)
마르첼로; 오보에 협주곡 d단조
멘델스존; '한여름밤의 꿈' 서곡 외 발췌
'핑갈의 동굴' 서곡(분위기 묘사)
모차르트; 버순 협주곡 Bb장조, 호른 협주곡 3번 Eb장조
오보에 4중주곡 F장조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발췌(성악)
오르프; '카르미나 부라나' 중 제 1곡 'O Fortuna'(합창,팀파니)
푸치니; 오페라 "라 보엠" 발췌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c단조
생상스;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바이올린의 기교)
슈베르트; 가곡집 "겨울 나그네" 중 '보리수' (가곡)
즉흥곡집 D.899,935
시벨리우스; 핀란디아(교향시)
소르; 모차르트 주제에 의한 변주곡 (기타)
바그너; 오페라 "탄호이저" 서곡(정확한 3부분의 구성)
베르디;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리골레토", "아이다" 발췌
베버; 오페라 "마탄의 사수" 서곡(서주가 있는 소나타 형식)
Ⅱ-2) 중급(中);
위에서 악기의 음색에 대해선 거의 다 기억하시리라 믿습니다. 기억하실 때까지는 윗 단계를 계속 듣는 것이 좋습니다.
형식과 구조의 이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해를 돕는 데 중요합니다.규모가 큰 곡은 형식이나 구조를 알면 그 곡의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서, 바흐의 푸가는 주제를 인식하기 전에는 혼돈으로만 생각하는 분도 많을 것입니다. 주제를 기억하시면 곡 전체의 의미가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흐; 반음계적 환상곡과 푸가(쳄발로, 푸가 주제의 인식)
파사칼리아 c단조(저음에 거의 줄곧 반복되는 변주의 주제)
샤콘느 d단조(무반주 바이올린, 33개의 변주의 구조)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3번 f단조 '열정'(1,3악장의 소나타 형식)
피아노 협주곡 4번 G장조
첼로 소나타 3번 A장조(2중주 소나타)
베를리오즈; 환상 교향곡 (3악장 끝의 천둥 소리 묘사와 4악장 끝의 단두대 칼날이 떨어지는 예리함)
보로딘; 교향시 '중앙 아시아의 초원에서'
브람스; 교향곡 4번 e단조(4악장의 8마디의 주제와 33변주)
호른 3중주곡(내츄럴 호른의 음색)
코플랜드; 엘 살롱 멕시코(미국적인 음악)
드보르작; 현악 4중주곡 12번 F장조 '아메리카'
(1악장 처음의 비올라 독주와 2악장의 민족적 분위기)
엘가; 수수께끼 변주곡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 A장조(4악장의 완벽한 돌림노래)
그로페; 그랜드 캐년(묘사음악)
하이든; 교향곡 94번 G장조 '놀람'(2악장의 변주곡, 3악장 메누엣)
현악 4중주곡 77번 C장조 '황제'(2악장의 주제)
랄로; 스페인 교향곡(스페인 색채)
모차르트; 교향곡 39번 Eb장조
세레나데 6번 D장조 '세레나데 노투르나'(팀파니)
피아노 협주곡 21번 C장조(2악장의 긴 선율)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2악장의 가요 형식)
무소르그스키; 교향시 '민둥산의 하룻밤' (기괴한 분위기)
프로코피에프; 교향곡 1번 C장조 "고전 교향곡"(밝은 음색)
라벨; 어릿광대의 아침 노래(날카로운 리듬, 중간의 버순 솔로)
D.스카를라티; 소나타 L.164 외(단악장 소나타)
슈베르트; 아르페지오네 소나타(2악장, 3악장의 헝가리적 느낌)
현악 4중주곡 14번 d단조 '죽음과 소녀' (2악장의 변주)
가곡집 "백조의 노래"(2,13번 등의 극적인 음악)
슈만; 피아노 협주곡 a단조(1악장의 오보에가 부는 1주제)
시벨리우스; 투오넬라의 백조(잉글리시 호른의 독주)
R.슈트라우스; 틸 오일렌슈피겔의 유쾌한 장난(틸의 주제,재판장면)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6번 b단조 "비창"(4악장의 느린 템포)
비탈리; 샤콘느 g단조(바이올린 독주, 변주의 구조)
바그너; 지그프리트 목가(투명한 음색)
베버; 오페라 '오이뤼안테' 서곡, '오베론' 서곡
Ⅱ-3) 중급(上);
이 정도까지 오신 분은, 어느 정도는 들을 곡들을 자신이 골라 들을 수 있는 단계까지 오신 것입니다. 점차 음악감상의 폭을 넓히시면서, 고전음악의 여러장르를 탐험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여기 적힌 곡들은 단지 '이 정도면 되겠다'는 안내에 불과합니다.
여기서 일단 멈추시고 앞 단계의 곡들도 되돌아보시기 바라겠습니다. 앞 단계의 곡들을 웬만큼 자신 있게 들으실 수 있다면, 그 때에 상급으로 가시
기 바랍니다.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6번 Bb장조(비올라와 저음 현)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지극히 다양한 전주곡과 푸가)
베토벤; 교향곡 9번 d단조 '합창'(합창과 4부 독창)
레오노레 서곡 3번(트럼펫의 신호 소리)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큰 협주 소나타 형식)
피아노 3중주곡 7번 Bb장조 '대공'(피아노 3중주의 음향)
피아노 소나타 32번 c단조(2악장뿐이고, 악장 간의 대조)
비제; 오페라 '카르멘'전곡(초보자도 안 지루할 정도로 유명하다)
브람스; 교향곡 1번 c단조(끝악장의 호른과 플루트 독주)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끝악장의 불규칙한 론도 형식)
첼로 소나타 1번 e단조(끝악장의 푸가)
브루흐; 스코틀랜드 환상곡(민요풍의 선율, 하프의 두드러진 활약)
콜 니드라이(첼로의 음색, 종교적인 분위기)
브루크너; 교향곡 4번 Eb장조 '로맨틱'(호른의 활약)
쇼송; 시곡(바이올린의 독주)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e단조
드뷔시; 영상 1,2집(피아노 페달의 다양한 효과)
엘가; 첼로 협주곡 e단조(첼로의 음색,특이한 구조)
프랑크; 교향적 변주곡(변주의 특이한 구조와 순환 형식)
코다이; '하리 야노스' 모음곡(처음의 재채기와 타악기의 효과)
랄로; 첼로 협주곡 d단조(2악장의 독주첼로의 백 파이프 같은 가락)
멘델스존; 피아노 3중주 1번 d단조
모차르트; 교향곡 41번 C장조 '주피터'(끝악장의 푸가의 취급)
'음악의 희롱' F장조(일부러 흉내낸 치졸한 음악기법)
피아노 협주곡 20번 d단조(극적인 음악)
현악 4중주곡 19번 C장조 '불협화음'(1악장 처음의 음향)
오페라 "돈 조반니", "마술 피리" 발췌
프로코피에프; '키제 중위' 모음곡(만화적인 분위기)
푸치니; 오페라 "토스카","나비 부인","투란도트" 발췌
레스피기; '로마의 분수', '로마의 소나무'
"류트를 위한 고대무곡과 아리아" 제 3조곡(고풍의 음악)
모음곡 "새"(목관이 새울음소리를 흉내낸다)
생상스; 바이올린 협주곡 3번 b단조(2악장 끝의 바이올린 하모닉스)
슈베르트; '시든 꽃' 주제에 의한 서주와 변주(플루트와 피아노)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북구적인 음악)
R.슈트라우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유명한 개시부)
타르티니; 바이올린 소나타 g단조 '악마의 트릴'(바이올린의 기교)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5번 e단조(2악장 처음의 호른 솔로,3악장의 왈츠)
바그너; '로엔그린' 1막 전주곡(성배가 내려왔다가 올라가는 것을 묘사)
--------------------------------------------------------------------------------
Ⅲ. 상 급
여기 오시려면 중급의 음악을 많이 이해하셔야 합니다. 지금 까지 거의 다루지 않은 종교 음악이나, 바르토크 등의 현대 음악도 들어야겠지요? 그리고 이제는 음계의 구성 재료(조성, 선법, 12음 기법, 배분법 외)에 대해서도 조금씩 신경을 쓰면 더욱 좋을 것입니다. 리듬이 어떤 구실을 하는가에 대해서도 매우 재미있는 실례가 많습니다.
Ⅲ-1) 상급(下);
주로 구조에 관한 것이고, 가끔 음색의 요소도 있습니다. 음색은 지금까지는 그리 중요시되지는 않았지만 (악기 음색 익힐 때를 뺀다면), 현대 음악에서는 음색은 리듬과 강약만큼이나 중요하게 취급됩니다.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3번(현악합주의 쫓고 쫓기는 카논)
골트베르크 변주곡(수학적인 변주의 구조, 다양한 카논)
음악의 헌정(다양한 카논, 트리오 소나타)
마태 수난곡, 요한 수난곡(수난곡의 구조와 음악)
바르토크;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현대적인 음색과 2,4악장의 유머)
베토벤; 교향곡 3번 Eb장조 "영웅"
(2악장의 장송 행진곡, 4악장의 특이한 변주의 구성)
교향곡 7번 A장조(리듬의 역할)
첼로 소나타 4번 C장조(환상곡풍의 구성)
비제; 교향곡 1번 C장조(밝은 음색미)
브람스; 피아노 5중주곡 f단조(피아노와 현 4중주의 음색)
피아노 3중주곡 3번 c단조(압축된 구성)
브루크너; 교향곡 7번 E장조(브루크너의 교향곡의 개성적 구조)
쇼송; 피아노, 바이올린, 현악 4중주를 위한 협주곡(실내 협주곡)
쇼팽; 마주르카(폴란드 무곡의 리듬), 폴로네즈(일정한 리듬)
쿠프랭; 쳄발로 작품집(표제적인 요소)
드보르작; 피아노 3중주곡 5번 e단조 "둠키"(민속 음악의 요소)
프랑크; 전주곡, 코랄과 푸가(피아노의 관현악적 음향)
헨델; 합주 협주곡집 op.3
말러; 교향곡 1번, 대지의 노래(성악 교향곡)
멘델스존; 오라토리오 "엘리야"
모차르트; 현악 5중주곡 3번 C장조, 4번 g단조(현 5중주의 內聲)
레퀴엠 d단조, K.626
세레나데 10번 Bb장조 "그란 파르티타"(관악 합주)
오페라 '마술 피리','후궁으로부터의 유괴'(대사)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3번 C장조(현대적인 조성 처리)
푸치니; 오페라 '라 보엠','토스카','나비 부인'
퍼셀; 샤콘느
라벨; 소나티네(작은 규모에서 다룬 소나타 형식)
레스피기; 교향시 '로마의 축제'(대관현악의 음색)
쇤베르크; 정화된 밤(현악 6중주의 음향)
슈베르트; 교향곡 9번 C장조(서정적인 음악에 의한 큰 구성)
피아노 소나타 21번 Bb장조
슈만; 환상곡 C장조(환상곡의 구성적 요소)
피아노 5중주곡 Eb장조,op.44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 d단조(말러와 비슷한 요소)
전주곡과 푸가(피아노)
시벨리우스; 교향곡 7번 C장조(단일악장, 절묘한 유기적인 구성)
스메타나; 교향시 '나의 조국' 전 6곡(연작 교향시)
현악 4중주곡 1번 e단조 '나의 생애에서'(자전적인 음악)
R.슈트라우스; 교향시 '돈 환','영웅의 생애'(서술적인 묘사)
스트라빈스키; 발레음악 "봄의 제전"(거친 음악)
발레 음악 "병사의 이야기"(재즈의 요소)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3악장의 피치카토, 관의 음색)
텔레만; 식탁 음악(실용음악의 성격, 바로크의 양식)
베르디; 오페라 '리골레토','일 트로바토레','라 트라비아타'
바그너; 오페라 '탄호이저','로엔그린'
베버; 오페라 "마탄의 사수"
Ⅲ-2) 상급(中);
이제 조성(tonality)에 대해서 신경을 쓰고 음악을 들어 봅시다. 조성은 매우 중요한데, 곡상(曲想)을 표현하는 경우 조성은 매우 큰 역할을 합니다. 조를 바꾼다는 것(조바꿈, modulation)은 곡의 느낌도 달라짐을 의미하지요.
현대음악이나 옛날 음악들은 조성 대신에 선법(modality)이나, 온음 음계 (온음만으로 구성된 음계;whole-tone scale), 12음 기법(twelve-tone method)으로 음악을 만들기도 하지만, 일반 애호가들에게는 주로 조성이 접할 기회가 많을 것입니다.
바흐; 푸가의 기법(정묘한 가지가지 푸가의 쓰임)
환상곡과 푸가 g단조,BWV.542(환상곡의 자유로운 조바꿈)
무반주 첼로 모음곡 3번 C장조(통일된 조성,무곡)
바르토크; 현과 타악기,첼레스타를 위한 음악(대단히 범위가 확장된 애매한 조성)
피아노 협주곡 3번(조성이 현저한 현대 음악)
현악 4중주곡 1-6번(지극히 다양한 현의 주법, 배분법)
베토벤; 피아노 변주곡 F장조,op.34(변주마다 다른 조를 썼다)
오페라 '피델리오'(오페라는 원래 조가 계속 바뀐다)
피아노 소나타 31번 Ab장조(끝악장의 레시타티보)
첼로 소나타 5번 D장조(2악장의 고요히 퍼져 나가는 음향)
벨리니; 오페라 '노르마'(심리 묘사)
베르크; 오페라 '보체크'(무조음악, 예리한 극적인 다채로운 표현)
블로흐; 광시곡 "셀로모"(확대된 조성, 유태적인 분위기)
보로딘; 교향곡 2번 b단조(이례적인 각 악장의 조성)
브람스; 클라리넷 5중주곡 b단조(2악장의 분위기, 자주 바뀌는 조)
교향곡 3번 F장조(1악장 1주제의 조성의 흔들림)
피아노 소품집 op.118(피아노의 넓은 음향, 분위기)
브루크너; 교향곡 8번 c단조(폭 넓은 조바꿈)
캉틀루브; 오베르뉴의 노래(민요풍의 음악)
카스텔누오보 테데스코; 기타 협주곡(조성이 애매)
쇼팽; 전주곡집-2번(참으로 훌륭한 조바꿈),24번(격렬한 원격조성)
폴로네즈 7번 "환상 폴로네즈"(조바꿈의 방법)
코플랜드; 발레 조곡 "로데오"(비화성음, 교묘히 비틀어진 조성)
드뷔시; 연습곡집(이상한 화성)
전주곡집 2권-1번(오른손과 왼손의 화성의 차이),
3번(하바네라),6번(F장조를 중심으로 유동하는 기괴한 화성붙임)
전주곡집 1권-1번(5도의 병행진행),2번(온음음계와 5음음계),
5번(5음음계),10번(현저한 5도 병행,선법)
뒤파르크; 가곡집-여행에 초대함, 前生 등(절묘한 화성)
드보르작; 교향곡 8번 G장조
팔랴; 스페인 정원의 밤(피아노 독주와 관현악)
발레음악 '삼각모자'(스페인 분위기)
포레; 가곡집-꿈 뒤에 등(아름다운 분위기,서정적인 화음)
레퀴엠(구성이 보통 레퀴엠과는 다르다)
프랑크; 교향곡 d단조(순환 형식의 응용)
거슈윈; 오페라 "포기와 베스"(미국 민속 오페라-포크 송)
글라주노프; 바이올린 협주곡 a단조(민속악기를 흉내낸 독주)
하이든; 오라토리오 "천지 창조", "사계"
힌데미트; 호른 협주곡(개념이 바뀐 조성)
홀스트; 행성(조성,선법 등 다양한 음계를 사용)
댕디; 프랑스 山 사람의 노래에 의한 교향곡(프랑스 민요의 선율)
하차투리안; 발레 음악 "스파르타쿠스","가야네"(아르메니아 음악)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2번(단일악장,재미있는 구성 방법)
말러;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가곡)
무소르그스키;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사실적인 음악)
가곡집 "죽음의 노래와 춤"(러시아어의 낭송)
오르프; 카르미나 부라나,카툴리 카르미나
페르골레지; 스타바트 마테르
풀랑크; 가곡집 외
라벨; 스페인 광시곡(스페인 분위기),모음곡 "거울"(선법의 활용)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4번 c단조(단일악장 협주곡)
사티; 피아노 작품집(기묘한 피아노 음향)
쇤베르크; 미친 피에로(무조음악, 환상적인 음악의 흐름)
관현악을 위한 변주곡,op.31(12음기법)
슈베르트; "지옥의 영혼들" D.583(대담하기 이를데 없는 조바꿈)
"젊은 수녀" D.828(감정에 따라 계속 변하는 조성)
교향곡 8번 b단조 "미완성"(2악장의 아름다운 조바꿈)
방랑자 환상곡(주제 동기의 유기적인 구성법)
슈만; 교향곡 4번 d단조(단일동기의 순환적인 사용법)
연가곡집 "시인의 사랑"(가사와 음악의 취급 방법)
스크리아빈; 피아노 소나타 5-10번(무조에 가까운 애매한 조성)
쇼스타코비치; 현악 4중주곡(전 15곡)
R.슈트라우스; 교향시 "죽음과 정화"(표제에 따른 음악의 진전)
오페라 "엘렉트라"(전위적인 화성 사용)
바그너; 악극 "트리스탄과 이졸데"(절묘한 반음계의 사용)
악극 "니벨룽의 반지"(교향적인 음악의 구조,시도동기)
베베른; 가곡집,교향곡 외(12음기법,지극히 압축된 곡의 구성)
볼프; "뫼리케 가곡집"(응축된 음악 구조,대담한 조성)
Ⅲ-3) 상급(上);
여기까지 온 분에게 무엇을 추천해 드려야 할지 감이 안 잡힙니다. 사실 저도 이 앞에 있는 곡들을 다 들은 것은 아닙니다.(하지만 95% 이상은 들었다고 장담할 수 있군요). 여기까지 졸업하신 분들이라면, 제가 더 이상 조언을 드릴 수가 없을 것입니다. 오히려 제가 배워야 할지 모르겠군요. 따라서 여기는 그냥 공란으로 남겨 놓겠습니다. 여러분께서 스스로 충분히 찾아서 들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은 약 250곡 정도를 추천한 것인데, 이것으로 불만을 느끼신다면 스스로 찾으시는 수밖에 없습니다. 고전음악의 넓은 세계를 글 하나로 전부 안내하기는 힘이 너무 많이 드는 작업입니다. 그리고, 물론 자기 자신의 노력이 先行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
CD 가이드 20세기 명반 100
1. 몬테베르디 "성모 마리아의 저녁 기도": 가디너(아르히브)
2.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레온하르트, 브뤼헨, 빌스마, 쿠이켄 외(세온/소니)
3.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카잘스(EMI)
4. 바흐 "골트베르크 변주곡": 굴드 신반(CBS/소니)*
5. 바흐 "마태 수난곡": 가디너(아르히브)
6. 비발디 "사계": 비온디 구반(오푸스111)
7. 핸델 "메시아": 가디너(필립스)
8. 모차르트 교향곡 전집: 호그우드(르와조 리르)
9. 모차르트 호른 협주곡집: 브레인, 카라얀(EMI)*
10.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브라이머, 비첨(EMI)
11. 모차르트 피협 20번, 21번: 굴다, 아바도(DG)
12. 모차르트 바소 K.301, 304, 376, 378: 그뤼미오, 하스킬(필립스)*
13. 모차르트 "피가로의 결혼": E. 클라이버(데카)*
14. 모차르트 "마술 피리": 솔티 구반(데카)*
15. 모차르트 "돈 지오바니": 줄리니(EMI)
16. 모차르트 "레퀴엠": 헤레베헤(아르모니아 문디)
17. 베토벤 교향곡 전곡: 가디너(아르히브)
18. 베토벤 교향곡 4번: C. 클라이버(오르페오)*
19. 베토벤 교향곡 5번, 7번: C. 클라이버(DG)
20. 베토벤 교향곡 6번 "전원": 블롬슈테트(베를린 클래식스)
21.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푸르트뱅글러[바이로이트 실황](EMI)
22. 베토벤 피협 전곡: 켐프, 켐펜(DG)
23. 베토벤 바협: 오이스트라흐, 클뤼탕(EMI)*
24. 베토벤 3중 협주곡: 리히터, 오이스트라흐, 로스트로포비치, 카라얀(EMI)*
25. 베토벤 바소 전곡: 무터(DG)
26.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집: 길렐스(DG)
27. 베토벤 현악 4중주 전집: 부다페스트 현악 4중주단*
28. 베토벤 "피델리오": 클렘페러(EMI)
29. 베토벤 "장엄 미사": 가디너(아르히브)
30. 로시니 "세빌리아의 이발사": 바르비소(데카)*
31. 파가니니 바협 전6곡: 아카르도, 뒤트와(DG)*
32. 베버 "마탄의 사수": C. 클라이버(DG)*
33. 슈베르트 교향곡 8번 "미완성": 클렘페러(EMI)
34. 슈베르트 피아노 5중주 "송어": 커즌, 빈 8중주단 단원들(데카)*
35. 베를리오즈 "환상 교향곡": 카라얀 70년대 연주(DG)
36. 쇼팽 피협 1번: 폴리니, 클레츠키(EMI)
37. 쇼팽 피협 2번: 아르헤리치, 로스트로포비치(DG)
38. 쇼팽 "녹턴": 피레스(DG)
39. 쇼팽 "왈츠" 14곡: 리파티(EMI)
40. 벨리니 "노르마": 칼라스, 코렐리, 세라핀(EMI)*
41. 멘델스존 교향곡 3번 "스코틀랜드": 마그(데카)*
42. 멘델스존 "한여름 밤의 꿈": 클렘페러(EMI)
43. 도니제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칼라스, 탈리아비니, 세라핀(EMI)
44. 슈만 피협: 리파티, 카라얀(EMI)
45. 리스트 피협: 리히터, 콘드라신(필립스)*
46. 바그너 "니벨룽의 반지": 뵘 바이로이트 축제 실황(필립스)*
47. 바그너 "트리스탄과 이졸데": 푸르트뱅글러(EMI)
48. 바그너 "파르지팔": 카라얀(DG)*
49. 베르디 "오텔로": 카라얀(데카)*
50.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 C. 클라이버(DG)*
51. 베르디 "팔스타프": 카라얀(EMI)*
52. 베르디 "레퀴엠": 가디너(필립스)*
53. 브람스 교향곡 4번: C. 클라이버
54. 브람스 피협 1번, 2번: 길렐스(DG)
55. 브람스 바협: 오이스트라흐, 클렘페러(EMI)*
56. 브람스, 모차르트 클라리넷 5중주: 블라흐, 빈 콘체르트하우스 현악 4중주단(웨스트민스터)
57. 그리그 피협: 리파티, 갈리에라(EMI)
58. 브루크너 교향곡 5번: 반트, 베를린 필(RCA)
59. 브루크너 교향곡 7번: 블롬슈테트(데논)
60. 브루크너 교향곡 8번: 첼리비다케(EMI)
61. 브루크너 교향곡 9번: 줄리니(DG)*
62. J. 슈트라우스 왈츠집: 보스코프스키(데카)*
63. 빈 필의 신년 음악회(J. 슈트라우스 외): 카라얀 87년(DG)*
64. J. 슈트라우스 "박쥐": 카라얀(데카)
65. 비제 "카르멘": 카라얀(RCA)*
66. 포레 레퀴엠: 코르보(에라토)
67.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6번: 카라얀, 베를린 필(DG)
68. 차이코프스키 피협 1번: 아르헤리치, 콘드라신(필립스)
69. 차이코프스키 바협: 정경화, 뒤트와(데카)
70.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3중주 "어느 위대한 예술가의 추억": 아슈케나지, 펄먼, 해럴(EMI)*
71. 말러 교향곡 2번 "부활": 래틀, 버밍엄 시 교향악단(EMI)
72. 말러 교향곡 8번: 솔티(데카)*
73. 말러 "대지의 노래": 페리어, 파차크, 발터(데카)
74. 말러 교향곡 9번: 카라얀 신반[실황](DG)
75. 마스카니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레온카발로 "팔리아치": 카라얀(DG)
76. 푸치니 "라 보엠": 카라얀(데카)*
77. 푸치니 "토스카": 칼라스, 데사바타(EMI)*
78. 푸치니 "나비 부인": 카라얀(데카)
79. 드보르자크 교향곡 8번, 9번: 쿠벨릭(DG)
80. 드보르자크 첼로 협주곡: 로스트로포비치, 카라얀(DG)
81. 드뷔시 관현악곡집: 마르티농(EMI)*
82. 드뷔시 전주곡집: 치머만(DG)
83. 슈트라우스 관현악곡집: 켐페(EMI)
84. R. 슈트라우스 "살로메": 솔티(데카)*
85. R. 슈트라우스 "엘렉트라": 솔티(데카)
86. R. 슈트라우스 "로젠카발리어": 카라얀(EMI)
87. 스트라빈스키 관현악 전곡집: 스트라빈스키(CBS/소니)
88. 시벨리우스 교향곡 전집: 데이비스(RCA)
89. 엘가 첼협: 뒤프레, 바비롤리(EMI)*
90. 레스피기 로마 3부작: 토스카니니(RCA)*
91. 베르크 "보체크": 아바도(DG)*
92. 바르토크 "현, 타악기, 첼레스타를 위한 음악" 외: 라이너(RCA)*
93. 거슈윈 "포기와 베스": 래틀(EMI)*
94. 브리튼 "피터 그라임즈": 브리튼(데카)*
95. 프로코피에프 피협 3번: 아르헤리치, 아바도(DG)
96.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 아슈케나지(데카)*
97. 라흐마니노프 피협 2번: 아슈케나지, 프레빈(데카)
98. 오르프 "카르미나 부라나": 요훔(DG)*
99.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 콘드라신(멜로디야)
100.슈베르트 가곡 전집: 피셔-디스카우, 무어(DG)*
고클에서 퍼온 글...
============================================================
♣ 어떤 곡을 어떻게 들어야 하나? 초급부터 ~ 상급까지
아래의 글은 음악동아에 연재된 글로써...(보완: 실은 H.Miller의 'Guide to Classical Music'이라는 음악동아 별책부록을 정리한 것임:arioso) 사실 저도 아직 못 들은 곡이 많으며 저 역시도 많은 도움을 얻고 있지요.....
다음 안내는 어떤 곡을 어떻게 들어야 하는가 하는 것이 중점입니다. 같은 곡도 여러 가지 관점에서 들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긴 글이 다소의 길잡이가 된다면 좋겠습니다.
Ⅰ. 초 급
완전한 안내를 위하여 전혀 모르는 사람도 출발할 수 있도록 곡을 골랐습니다. 게시판에서나 주위 사람들에게 조언을 청하며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Ⅰ-1) 완전 초급;
전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한 단계입니다. 우선 선율 좋고 아름다운, 듣기 편한 곡을 골랐습니다. 자신 있으신 분은 생략해도 상관없습니다.
알비노니; 아다지오
바흐; 관현악 모음곡 3번 중 에어(G선상의 아리아)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4번 c#단조 "월광" 중 1악장
브람스; 헝가리 무곡 5,6번
쇼팽; 환상즉흥곡
그리그; "페르 귄트" 모음곡 1번 중 '오제의 죽음', '산 마왕의 궁전'
헨델; "메시아" 중 '할렐루야 코러스'
하이든; 교향곡 94번 G장조 '놀람' 중 2악장, 트럼펫 협주곡 Eb장조 중 3악장
크라이슬러; 사랑의 기쁨
모차르트; 교향곡 40번 g단조 중 1악장, 피아노 협주곡 21번 C장조 중 2악장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전악장, 피가로의 결혼 서곡,
오펜바흐; '천국과 지옥' 서곡
파헬벨; 카논
로드리고; '아랑훼즈 협주곡' 중 2악장
로시니; '세빌랴의 이발사' 서곡
사라사테; 치고이네르바이젠
J.슈트라우스(1세); 라데츠키 행진곡
J.슈트라우스(2세);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피치카토 폴카
차이코프스키; 발레곡 '백조의 호수' 중 정경, 안단테 칸타빌레
비발디; 바이얼린 협주곡 '사계' 중 '봄' 전악장
바그너; 악극 "발퀴레" 중 '발퀴레의 말타기'
Ⅰ-2) 초급(中);
위의 곡들 정도는 자신이 있으시다면, 이 단계로 오셔서 조금씩 생각하시면서 음악을 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부터는 교향곡이나 소나타 등의 전악장을 조금씩 듣기 시작하셔도 좋을 것입니다. 악장 간의 대비, 빠르기의 구성 등에 신경쓰시면 음악감상이 훨씬 더 재미있을 것입니다. 여러가지 악기의 음색 등을 익히시면 좋습니다.
앞으로부터는 (이 글을 기준으로 음악을 들으실 경우) 단계를 건너뛰지 않으시는 편이 좋습니다.
바버; 현을 위한 아다지오
바흐; 관현악 모음곡 2번 b단조 중 폴로네즈, 메누엣, 바디네리
토카타와 푸가 d단조, BWV.565
칸타타 147번 중 코랄 10번 '예수, 사람의 희망과 기쁨'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8번 c단조 "비창", 에그몬트 서곡
베를리오즈; 라코치 행진곡
비제; "카르멘" 모음곡 중 1막 전주곡, 4막 간주곡
브람스; 대학 축전 서곡
쇼팽; 왈츠 1번 Eb장조 '화려한 대 원무곡', 7번 c#단조
드뷔시; 전주곡 1집 중 8곡 '아마빛 머리의 소녀'
"어린이 차지" 중 6곡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
드보르작; 교향곡 9번 e단조, '신세계에서'
엘가; '위풍당당' 행진곡 1번
글룩; 오페라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중 '정령의 춤'
하이든; 교향곡 101번 D장조 '시계'
리스트; 헝가리 환상곡, 사랑의 꿈
마스카니;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간주곡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모차르트; 오페라 "마술 피리" 서곡, "코지 판 투테" 서곡
디베르티메토 17번 D장조 중 3악장 메누엣
플루트와 하프를 위한 협주곡 C장조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중 18변주
라벨; 볼레로,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생상스; 모음곡 '동물의 사육제' 중 '백조'
슈베르트; 교향곡 8번 b단조 '미완성'
스메타나; 교향시 "나의 조국" 중 2번 '몰다우'
타레가;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비발디; "사계" 중 '여름','겨울'
Ⅰ-3) 초급(上);
윗 단계를 2/3 이상 해결하신 분께서는 중급으로 가시기 전 마지막 예비 단계로 여기를 다 들으십시오. 중급에서는 형식에 대해 약간식 알기 시작하실 텐데, 그 전에 각 악기의 음색을 이해하고 중급으로 가시는 것이 좋으실 것입니다. 이 단계는 각 악기의 음색 식별을 위한 단계입니다.
여러분게서는 아마 바이올린과 피아노, 첼로와 플루트의 소리는 쉽게 구별하실 수 있을 거입니다. 모든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들의 음색을 구별하기는 사실 매우 어렵지만, 많이 들을 수 있는 악기들의 음색만이라도 식별하신다면, 음악 감상의 즐거움은 크게 늘어날 것입니다. 고전음악의 큰 매력은 여러 악기들의 음색 차에서 오는 다양성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D장조(바이올린,플루트,쳄발로의 독주)
코랄 "눈 뜨라고 부르는 소리 있도다"(오르간)
베토벤; 교향곡 5번 c단조, '코리올란' 서곡(관현악)
바이올린 소나타 5번 F장조 '봄'(바이올린과 피아노)
비제; '아를르의 여인' 제 1 조곡 중 전주곡(현악 합주)
브람스; 교향곡 3번 F장조 3악장(호른과 오보에의 독주)
현악 6중주곡 1번 Bb장조 중 2악장(현악기 실내악곡)
브리튼; '심플 심포니'중 2악장(현의 피치카토-손가락으로 퉁기기)
쇼팽; 폴로네즈 3번 A장조 '군대',6번 Ab장조 '영웅'(피아노의 음색)
치마로자; 오보에 협주곡 c단조(오보에의 음색)
드뷔시; '목신의 오후' 전주곡(첫 플루트 독주와 하프의 글리산도)
전주곡집 1권 중 3,4,10번(피아노의 음색)
드보르작; 슬라브 무곡 1,3,7,10번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사이렌 소리 같은 클라리넷 독주)
파리의 미국인(경적 소리)
글린카; '루슬란과 루드밀라' 서곡
헨델; '왕궁의 불꽃놀이' (여러 금관악기의 음색)
하이든; 첼로 협주곡 D장조(첼로의 넓은 음역)
교향곡 100번 G장조 '군대' 중 2악장(트럼펫 신호, 여러 타악기)
멘델스존; 교향곡 4번 A장조 '이탈리아' 중 1악장
메르카단테; 플루트 협주곡 e단조 중 3악장
모차르트; 교향곡 40번 g단조 중 3악장(호른, 플루트 등 관의 독주)
바이올린 협주곡 3번 G장조 중 2악장(약음기를 낀 현)
클라리넷 5중주곡 A장조
피아노 소나타 11번 A장조(3악장의 행진곡)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라벨 편곡(관현악법이 매우 다채로움)
라벨; 볼레로(색소폰까지도 포함한 관악기의 다양한 독주)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중 '코끼리'(더블 베이스)
슈만; 어린이 정경(피아노의 효과)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 인형"중 '별사탕의 춤'(첼레스타의 독주)
--------------------------------------------------------------------------------
Ⅱ. 중 급
초급에 나온 곡중 2/3 이상을 재미있게 들을 수 있고, 또 어느 정도 각 악기의 음색이 귀에 익으면 중급으로 오실 수 있습니다. 음색 익히는 덴 좀 시간이 필요하실 것입니다.
중급에서는 고전음악의 형식과 구조에 대해서 조금씩 다루려고 합니다. 지금까지는 거의 기악곡만 들었는데, 성악곡도 조금씩 이제 넣겠습니다. (물론, 사람의 목소리를 좋아하시는 분은 성악부터 출발해도 상관없습니다). 글 쓰는 것이나 그림에 일정한 '틀'이 있듯이, 음악도 마찬가지입니다.
시대에 따른 음악 '틀(양식)'의 변화나, 형식, 구조를 알면 고전음악의 이해에 큰 도움이 됩니다. 구조가 없는 고전음악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초보자 여러분, 초급의 中, 上 수준의 음악을 열심히 들으시도록 권합니다. 그 부분만 열심히 들으셔도 대부분의 다른 대학생들보다 많이 들으신 것입니다. 자신이 붙으면, 중급에서도 별 무리가 없으실 것입니다.
Ⅱ-1) 중급(下);
악기에 따른 음색의 차를 계속 익히시면서, 형식과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 초급(上)의 연장선 위에 잇습니다. 구조와 형식의 이해는 여기 있는 곡 뿐 아니라 초급에 실린 곡도 해 보시는 것이 좋음은 물론입니다.
바흐; 이탈리아 협주곡 F장조, BWV.971(쳄발로)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d단조
환상곡과 푸가 F장조, BWV.540(오르간,푸가의 돌림노래 구조)
베토벤; 교향곡 6번 F장조 "전원"(각 악장의 형식과,2악장 끝의 새소리)
피아노 협주곡 5번 Eb장조 '황제'(협주곡의 구조)
바이올린 소나타 9번 A장조 '크로이처'
비제; 오페라 "카르멘" 발췌(성악) 보케리니; 첼로 협주곡 Bb장조
브람스; 교향곡 2번 D장조 3악장(첫 오보에 독주)
하이든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 (주제와 변주)
브리튼;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入門
(완벽한 악기 해설곡이자 변주곡과 푸가를 구성하는 곡이다)
브루흐; 바이올린 협주곡 1번 g단조(첫 바이올린 독주)
쇼팽; 스케르초(대체로 세 부분으로 구성)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 b단조(구성)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a단조, '페르 귄트' 1,2조곡
헨델; 수상 음악(모음곡)
하이든; 현악 4중주곡 67번 D장조 '종달새'(현 4중주의 음향)
리스트; 전주곡 (교향시)
마르첼로; 오보에 협주곡 d단조
멘델스존; '한여름밤의 꿈' 서곡 외 발췌
'핑갈의 동굴' 서곡(분위기 묘사)
모차르트; 버순 협주곡 Bb장조, 호른 협주곡 3번 Eb장조
오보에 4중주곡 F장조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발췌(성악)
오르프; '카르미나 부라나' 중 제 1곡 'O Fortuna'(합창,팀파니)
푸치니; 오페라 "라 보엠" 발췌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c단조
생상스;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바이올린의 기교)
슈베르트; 가곡집 "겨울 나그네" 중 '보리수' (가곡)
즉흥곡집 D.899,935
시벨리우스; 핀란디아(교향시)
소르; 모차르트 주제에 의한 변주곡 (기타)
바그너; 오페라 "탄호이저" 서곡(정확한 3부분의 구성)
베르디;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리골레토", "아이다" 발췌
베버; 오페라 "마탄의 사수" 서곡(서주가 있는 소나타 형식)
Ⅱ-2) 중급(中);
위에서 악기의 음색에 대해선 거의 다 기억하시리라 믿습니다. 기억하실 때까지는 윗 단계를 계속 듣는 것이 좋습니다.
형식과 구조의 이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해를 돕는 데 중요합니다.규모가 큰 곡은 형식이나 구조를 알면 그 곡의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서, 바흐의 푸가는 주제를 인식하기 전에는 혼돈으로만 생각하는 분도 많을 것입니다. 주제를 기억하시면 곡 전체의 의미가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흐; 반음계적 환상곡과 푸가(쳄발로, 푸가 주제의 인식)
파사칼리아 c단조(저음에 거의 줄곧 반복되는 변주의 주제)
샤콘느 d단조(무반주 바이올린, 33개의 변주의 구조)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3번 f단조 '열정'(1,3악장의 소나타 형식)
피아노 협주곡 4번 G장조
첼로 소나타 3번 A장조(2중주 소나타)
베를리오즈; 환상 교향곡 (3악장 끝의 천둥 소리 묘사와 4악장 끝의 단두대 칼날이 떨어지는 예리함)
보로딘; 교향시 '중앙 아시아의 초원에서'
브람스; 교향곡 4번 e단조(4악장의 8마디의 주제와 33변주)
호른 3중주곡(내츄럴 호른의 음색)
코플랜드; 엘 살롱 멕시코(미국적인 음악)
드보르작; 현악 4중주곡 12번 F장조 '아메리카'
(1악장 처음의 비올라 독주와 2악장의 민족적 분위기)
엘가; 수수께끼 변주곡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 A장조(4악장의 완벽한 돌림노래)
그로페; 그랜드 캐년(묘사음악)
하이든; 교향곡 94번 G장조 '놀람'(2악장의 변주곡, 3악장 메누엣)
현악 4중주곡 77번 C장조 '황제'(2악장의 주제)
랄로; 스페인 교향곡(스페인 색채)
모차르트; 교향곡 39번 Eb장조
세레나데 6번 D장조 '세레나데 노투르나'(팀파니)
피아노 협주곡 21번 C장조(2악장의 긴 선율)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2악장의 가요 형식)
무소르그스키; 교향시 '민둥산의 하룻밤' (기괴한 분위기)
프로코피에프; 교향곡 1번 C장조 "고전 교향곡"(밝은 음색)
라벨; 어릿광대의 아침 노래(날카로운 리듬, 중간의 버순 솔로)
D.스카를라티; 소나타 L.164 외(단악장 소나타)
슈베르트; 아르페지오네 소나타(2악장, 3악장의 헝가리적 느낌)
현악 4중주곡 14번 d단조 '죽음과 소녀' (2악장의 변주)
가곡집 "백조의 노래"(2,13번 등의 극적인 음악)
슈만; 피아노 협주곡 a단조(1악장의 오보에가 부는 1주제)
시벨리우스; 투오넬라의 백조(잉글리시 호른의 독주)
R.슈트라우스; 틸 오일렌슈피겔의 유쾌한 장난(틸의 주제,재판장면)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6번 b단조 "비창"(4악장의 느린 템포)
비탈리; 샤콘느 g단조(바이올린 독주, 변주의 구조)
바그너; 지그프리트 목가(투명한 음색)
베버; 오페라 '오이뤼안테' 서곡, '오베론' 서곡
Ⅱ-3) 중급(上);
이 정도까지 오신 분은, 어느 정도는 들을 곡들을 자신이 골라 들을 수 있는 단계까지 오신 것입니다. 점차 음악감상의 폭을 넓히시면서, 고전음악의 여러장르를 탐험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여기 적힌 곡들은 단지 '이 정도면 되겠다'는 안내에 불과합니다.
여기서 일단 멈추시고 앞 단계의 곡들도 되돌아보시기 바라겠습니다. 앞 단계의 곡들을 웬만큼 자신 있게 들으실 수 있다면, 그 때에 상급으로 가시
기 바랍니다.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6번 Bb장조(비올라와 저음 현)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지극히 다양한 전주곡과 푸가)
베토벤; 교향곡 9번 d단조 '합창'(합창과 4부 독창)
레오노레 서곡 3번(트럼펫의 신호 소리)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큰 협주 소나타 형식)
피아노 3중주곡 7번 Bb장조 '대공'(피아노 3중주의 음향)
피아노 소나타 32번 c단조(2악장뿐이고, 악장 간의 대조)
비제; 오페라 '카르멘'전곡(초보자도 안 지루할 정도로 유명하다)
브람스; 교향곡 1번 c단조(끝악장의 호른과 플루트 독주)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끝악장의 불규칙한 론도 형식)
첼로 소나타 1번 e단조(끝악장의 푸가)
브루흐; 스코틀랜드 환상곡(민요풍의 선율, 하프의 두드러진 활약)
콜 니드라이(첼로의 음색, 종교적인 분위기)
브루크너; 교향곡 4번 Eb장조 '로맨틱'(호른의 활약)
쇼송; 시곡(바이올린의 독주)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e단조
드뷔시; 영상 1,2집(피아노 페달의 다양한 효과)
엘가; 첼로 협주곡 e단조(첼로의 음색,특이한 구조)
프랑크; 교향적 변주곡(변주의 특이한 구조와 순환 형식)
코다이; '하리 야노스' 모음곡(처음의 재채기와 타악기의 효과)
랄로; 첼로 협주곡 d단조(2악장의 독주첼로의 백 파이프 같은 가락)
멘델스존; 피아노 3중주 1번 d단조
모차르트; 교향곡 41번 C장조 '주피터'(끝악장의 푸가의 취급)
'음악의 희롱' F장조(일부러 흉내낸 치졸한 음악기법)
피아노 협주곡 20번 d단조(극적인 음악)
현악 4중주곡 19번 C장조 '불협화음'(1악장 처음의 음향)
오페라 "돈 조반니", "마술 피리" 발췌
프로코피에프; '키제 중위' 모음곡(만화적인 분위기)
푸치니; 오페라 "토스카","나비 부인","투란도트" 발췌
레스피기; '로마의 분수', '로마의 소나무'
"류트를 위한 고대무곡과 아리아" 제 3조곡(고풍의 음악)
모음곡 "새"(목관이 새울음소리를 흉내낸다)
생상스; 바이올린 협주곡 3번 b단조(2악장 끝의 바이올린 하모닉스)
슈베르트; '시든 꽃' 주제에 의한 서주와 변주(플루트와 피아노)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북구적인 음악)
R.슈트라우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유명한 개시부)
타르티니; 바이올린 소나타 g단조 '악마의 트릴'(바이올린의 기교)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5번 e단조(2악장 처음의 호른 솔로,3악장의 왈츠)
바그너; '로엔그린' 1막 전주곡(성배가 내려왔다가 올라가는 것을 묘사)
--------------------------------------------------------------------------------
Ⅲ. 상 급
여기 오시려면 중급의 음악을 많이 이해하셔야 합니다. 지금 까지 거의 다루지 않은 종교 음악이나, 바르토크 등의 현대 음악도 들어야겠지요? 그리고 이제는 음계의 구성 재료(조성, 선법, 12음 기법, 배분법 외)에 대해서도 조금씩 신경을 쓰면 더욱 좋을 것입니다. 리듬이 어떤 구실을 하는가에 대해서도 매우 재미있는 실례가 많습니다.
Ⅲ-1) 상급(下);
주로 구조에 관한 것이고, 가끔 음색의 요소도 있습니다. 음색은 지금까지는 그리 중요시되지는 않았지만 (악기 음색 익힐 때를 뺀다면), 현대 음악에서는 음색은 리듬과 강약만큼이나 중요하게 취급됩니다.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3번(현악합주의 쫓고 쫓기는 카논)
골트베르크 변주곡(수학적인 변주의 구조, 다양한 카논)
음악의 헌정(다양한 카논, 트리오 소나타)
마태 수난곡, 요한 수난곡(수난곡의 구조와 음악)
바르토크;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현대적인 음색과 2,4악장의 유머)
베토벤; 교향곡 3번 Eb장조 "영웅"
(2악장의 장송 행진곡, 4악장의 특이한 변주의 구성)
교향곡 7번 A장조(리듬의 역할)
첼로 소나타 4번 C장조(환상곡풍의 구성)
비제; 교향곡 1번 C장조(밝은 음색미)
브람스; 피아노 5중주곡 f단조(피아노와 현 4중주의 음색)
피아노 3중주곡 3번 c단조(압축된 구성)
브루크너; 교향곡 7번 E장조(브루크너의 교향곡의 개성적 구조)
쇼송; 피아노, 바이올린, 현악 4중주를 위한 협주곡(실내 협주곡)
쇼팽; 마주르카(폴란드 무곡의 리듬), 폴로네즈(일정한 리듬)
쿠프랭; 쳄발로 작품집(표제적인 요소)
드보르작; 피아노 3중주곡 5번 e단조 "둠키"(민속 음악의 요소)
프랑크; 전주곡, 코랄과 푸가(피아노의 관현악적 음향)
헨델; 합주 협주곡집 op.3
말러; 교향곡 1번, 대지의 노래(성악 교향곡)
멘델스존; 오라토리오 "엘리야"
모차르트; 현악 5중주곡 3번 C장조, 4번 g단조(현 5중주의 內聲)
레퀴엠 d단조, K.626
세레나데 10번 Bb장조 "그란 파르티타"(관악 합주)
오페라 '마술 피리','후궁으로부터의 유괴'(대사)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3번 C장조(현대적인 조성 처리)
푸치니; 오페라 '라 보엠','토스카','나비 부인'
퍼셀; 샤콘느
라벨; 소나티네(작은 규모에서 다룬 소나타 형식)
레스피기; 교향시 '로마의 축제'(대관현악의 음색)
쇤베르크; 정화된 밤(현악 6중주의 음향)
슈베르트; 교향곡 9번 C장조(서정적인 음악에 의한 큰 구성)
피아노 소나타 21번 Bb장조
슈만; 환상곡 C장조(환상곡의 구성적 요소)
피아노 5중주곡 Eb장조,op.44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 d단조(말러와 비슷한 요소)
전주곡과 푸가(피아노)
시벨리우스; 교향곡 7번 C장조(단일악장, 절묘한 유기적인 구성)
스메타나; 교향시 '나의 조국' 전 6곡(연작 교향시)
현악 4중주곡 1번 e단조 '나의 생애에서'(자전적인 음악)
R.슈트라우스; 교향시 '돈 환','영웅의 생애'(서술적인 묘사)
스트라빈스키; 발레음악 "봄의 제전"(거친 음악)
발레 음악 "병사의 이야기"(재즈의 요소)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3악장의 피치카토, 관의 음색)
텔레만; 식탁 음악(실용음악의 성격, 바로크의 양식)
베르디; 오페라 '리골레토','일 트로바토레','라 트라비아타'
바그너; 오페라 '탄호이저','로엔그린'
베버; 오페라 "마탄의 사수"
Ⅲ-2) 상급(中);
이제 조성(tonality)에 대해서 신경을 쓰고 음악을 들어 봅시다. 조성은 매우 중요한데, 곡상(曲想)을 표현하는 경우 조성은 매우 큰 역할을 합니다. 조를 바꾼다는 것(조바꿈, modulation)은 곡의 느낌도 달라짐을 의미하지요.
현대음악이나 옛날 음악들은 조성 대신에 선법(modality)이나, 온음 음계 (온음만으로 구성된 음계;whole-tone scale), 12음 기법(twelve-tone method)으로 음악을 만들기도 하지만, 일반 애호가들에게는 주로 조성이 접할 기회가 많을 것입니다.
바흐; 푸가의 기법(정묘한 가지가지 푸가의 쓰임)
환상곡과 푸가 g단조,BWV.542(환상곡의 자유로운 조바꿈)
무반주 첼로 모음곡 3번 C장조(통일된 조성,무곡)
바르토크; 현과 타악기,첼레스타를 위한 음악(대단히 범위가 확장된 애매한 조성)
피아노 협주곡 3번(조성이 현저한 현대 음악)
현악 4중주곡 1-6번(지극히 다양한 현의 주법, 배분법)
베토벤; 피아노 변주곡 F장조,op.34(변주마다 다른 조를 썼다)
오페라 '피델리오'(오페라는 원래 조가 계속 바뀐다)
피아노 소나타 31번 Ab장조(끝악장의 레시타티보)
첼로 소나타 5번 D장조(2악장의 고요히 퍼져 나가는 음향)
벨리니; 오페라 '노르마'(심리 묘사)
베르크; 오페라 '보체크'(무조음악, 예리한 극적인 다채로운 표현)
블로흐; 광시곡 "셀로모"(확대된 조성, 유태적인 분위기)
보로딘; 교향곡 2번 b단조(이례적인 각 악장의 조성)
브람스; 클라리넷 5중주곡 b단조(2악장의 분위기, 자주 바뀌는 조)
교향곡 3번 F장조(1악장 1주제의 조성의 흔들림)
피아노 소품집 op.118(피아노의 넓은 음향, 분위기)
브루크너; 교향곡 8번 c단조(폭 넓은 조바꿈)
캉틀루브; 오베르뉴의 노래(민요풍의 음악)
카스텔누오보 테데스코; 기타 협주곡(조성이 애매)
쇼팽; 전주곡집-2번(참으로 훌륭한 조바꿈),24번(격렬한 원격조성)
폴로네즈 7번 "환상 폴로네즈"(조바꿈의 방법)
코플랜드; 발레 조곡 "로데오"(비화성음, 교묘히 비틀어진 조성)
드뷔시; 연습곡집(이상한 화성)
전주곡집 2권-1번(오른손과 왼손의 화성의 차이),
3번(하바네라),6번(F장조를 중심으로 유동하는 기괴한 화성붙임)
전주곡집 1권-1번(5도의 병행진행),2번(온음음계와 5음음계),
5번(5음음계),10번(현저한 5도 병행,선법)
뒤파르크; 가곡집-여행에 초대함, 前生 등(절묘한 화성)
드보르작; 교향곡 8번 G장조
팔랴; 스페인 정원의 밤(피아노 독주와 관현악)
발레음악 '삼각모자'(스페인 분위기)
포레; 가곡집-꿈 뒤에 등(아름다운 분위기,서정적인 화음)
레퀴엠(구성이 보통 레퀴엠과는 다르다)
프랑크; 교향곡 d단조(순환 형식의 응용)
거슈윈; 오페라 "포기와 베스"(미국 민속 오페라-포크 송)
글라주노프; 바이올린 협주곡 a단조(민속악기를 흉내낸 독주)
하이든; 오라토리오 "천지 창조", "사계"
힌데미트; 호른 협주곡(개념이 바뀐 조성)
홀스트; 행성(조성,선법 등 다양한 음계를 사용)
댕디; 프랑스 山 사람의 노래에 의한 교향곡(프랑스 민요의 선율)
하차투리안; 발레 음악 "스파르타쿠스","가야네"(아르메니아 음악)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2번(단일악장,재미있는 구성 방법)
말러;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가곡)
무소르그스키;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사실적인 음악)
가곡집 "죽음의 노래와 춤"(러시아어의 낭송)
오르프; 카르미나 부라나,카툴리 카르미나
페르골레지; 스타바트 마테르
풀랑크; 가곡집 외
라벨; 스페인 광시곡(스페인 분위기),모음곡 "거울"(선법의 활용)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4번 c단조(단일악장 협주곡)
사티; 피아노 작품집(기묘한 피아노 음향)
쇤베르크; 미친 피에로(무조음악, 환상적인 음악의 흐름)
관현악을 위한 변주곡,op.31(12음기법)
슈베르트; "지옥의 영혼들" D.583(대담하기 이를데 없는 조바꿈)
"젊은 수녀" D.828(감정에 따라 계속 변하는 조성)
교향곡 8번 b단조 "미완성"(2악장의 아름다운 조바꿈)
방랑자 환상곡(주제 동기의 유기적인 구성법)
슈만; 교향곡 4번 d단조(단일동기의 순환적인 사용법)
연가곡집 "시인의 사랑"(가사와 음악의 취급 방법)
스크리아빈; 피아노 소나타 5-10번(무조에 가까운 애매한 조성)
쇼스타코비치; 현악 4중주곡(전 15곡)
R.슈트라우스; 교향시 "죽음과 정화"(표제에 따른 음악의 진전)
오페라 "엘렉트라"(전위적인 화성 사용)
바그너; 악극 "트리스탄과 이졸데"(절묘한 반음계의 사용)
악극 "니벨룽의 반지"(교향적인 음악의 구조,시도동기)
베베른; 가곡집,교향곡 외(12음기법,지극히 압축된 곡의 구성)
볼프; "뫼리케 가곡집"(응축된 음악 구조,대담한 조성)
Ⅲ-3) 상급(上);
여기까지 온 분에게 무엇을 추천해 드려야 할지 감이 안 잡힙니다. 사실 저도 이 앞에 있는 곡들을 다 들은 것은 아닙니다.(하지만 95% 이상은 들었다고 장담할 수 있군요). 여기까지 졸업하신 분들이라면, 제가 더 이상 조언을 드릴 수가 없을 것입니다. 오히려 제가 배워야 할지 모르겠군요. 따라서 여기는 그냥 공란으로 남겨 놓겠습니다. 여러분께서 스스로 충분히 찾아서 들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은 약 250곡 정도를 추천한 것인데, 이것으로 불만을 느끼신다면 스스로 찾으시는 수밖에 없습니다. 고전음악의 넓은 세계를 글 하나로 전부 안내하기는 힘이 너무 많이 드는 작업입니다. 그리고, 물론 자기 자신의 노력이 先行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
CD 가이드 20세기 명반 100
1. 몬테베르디 "성모 마리아의 저녁 기도": 가디너(아르히브)
2.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레온하르트, 브뤼헨, 빌스마, 쿠이켄 외(세온/소니)
3.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카잘스(EMI)
4. 바흐 "골트베르크 변주곡": 굴드 신반(CBS/소니)*
5. 바흐 "마태 수난곡": 가디너(아르히브)
6. 비발디 "사계": 비온디 구반(오푸스111)
7. 핸델 "메시아": 가디너(필립스)
8. 모차르트 교향곡 전집: 호그우드(르와조 리르)
9. 모차르트 호른 협주곡집: 브레인, 카라얀(EMI)*
10.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브라이머, 비첨(EMI)
11. 모차르트 피협 20번, 21번: 굴다, 아바도(DG)
12. 모차르트 바소 K.301, 304, 376, 378: 그뤼미오, 하스킬(필립스)*
13. 모차르트 "피가로의 결혼": E. 클라이버(데카)*
14. 모차르트 "마술 피리": 솔티 구반(데카)*
15. 모차르트 "돈 지오바니": 줄리니(EMI)
16. 모차르트 "레퀴엠": 헤레베헤(아르모니아 문디)
17. 베토벤 교향곡 전곡: 가디너(아르히브)
18. 베토벤 교향곡 4번: C. 클라이버(오르페오)*
19. 베토벤 교향곡 5번, 7번: C. 클라이버(DG)
20. 베토벤 교향곡 6번 "전원": 블롬슈테트(베를린 클래식스)
21.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푸르트뱅글러[바이로이트 실황](EMI)
22. 베토벤 피협 전곡: 켐프, 켐펜(DG)
23. 베토벤 바협: 오이스트라흐, 클뤼탕(EMI)*
24. 베토벤 3중 협주곡: 리히터, 오이스트라흐, 로스트로포비치, 카라얀(EMI)*
25. 베토벤 바소 전곡: 무터(DG)
26.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집: 길렐스(DG)
27. 베토벤 현악 4중주 전집: 부다페스트 현악 4중주단*
28. 베토벤 "피델리오": 클렘페러(EMI)
29. 베토벤 "장엄 미사": 가디너(아르히브)
30. 로시니 "세빌리아의 이발사": 바르비소(데카)*
31. 파가니니 바협 전6곡: 아카르도, 뒤트와(DG)*
32. 베버 "마탄의 사수": C. 클라이버(DG)*
33. 슈베르트 교향곡 8번 "미완성": 클렘페러(EMI)
34. 슈베르트 피아노 5중주 "송어": 커즌, 빈 8중주단 단원들(데카)*
35. 베를리오즈 "환상 교향곡": 카라얀 70년대 연주(DG)
36. 쇼팽 피협 1번: 폴리니, 클레츠키(EMI)
37. 쇼팽 피협 2번: 아르헤리치, 로스트로포비치(DG)
38. 쇼팽 "녹턴": 피레스(DG)
39. 쇼팽 "왈츠" 14곡: 리파티(EMI)
40. 벨리니 "노르마": 칼라스, 코렐리, 세라핀(EMI)*
41. 멘델스존 교향곡 3번 "스코틀랜드": 마그(데카)*
42. 멘델스존 "한여름 밤의 꿈": 클렘페러(EMI)
43. 도니제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칼라스, 탈리아비니, 세라핀(EMI)
44. 슈만 피협: 리파티, 카라얀(EMI)
45. 리스트 피협: 리히터, 콘드라신(필립스)*
46. 바그너 "니벨룽의 반지": 뵘 바이로이트 축제 실황(필립스)*
47. 바그너 "트리스탄과 이졸데": 푸르트뱅글러(EMI)
48. 바그너 "파르지팔": 카라얀(DG)*
49. 베르디 "오텔로": 카라얀(데카)*
50.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 C. 클라이버(DG)*
51. 베르디 "팔스타프": 카라얀(EMI)*
52. 베르디 "레퀴엠": 가디너(필립스)*
53. 브람스 교향곡 4번: C. 클라이버
54. 브람스 피협 1번, 2번: 길렐스(DG)
55. 브람스 바협: 오이스트라흐, 클렘페러(EMI)*
56. 브람스, 모차르트 클라리넷 5중주: 블라흐, 빈 콘체르트하우스 현악 4중주단(웨스트민스터)
57. 그리그 피협: 리파티, 갈리에라(EMI)
58. 브루크너 교향곡 5번: 반트, 베를린 필(RCA)
59. 브루크너 교향곡 7번: 블롬슈테트(데논)
60. 브루크너 교향곡 8번: 첼리비다케(EMI)
61. 브루크너 교향곡 9번: 줄리니(DG)*
62. J. 슈트라우스 왈츠집: 보스코프스키(데카)*
63. 빈 필의 신년 음악회(J. 슈트라우스 외): 카라얀 87년(DG)*
64. J. 슈트라우스 "박쥐": 카라얀(데카)
65. 비제 "카르멘": 카라얀(RCA)*
66. 포레 레퀴엠: 코르보(에라토)
67.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4번-6번: 카라얀, 베를린 필(DG)
68. 차이코프스키 피협 1번: 아르헤리치, 콘드라신(필립스)
69. 차이코프스키 바협: 정경화, 뒤트와(데카)
70.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3중주 "어느 위대한 예술가의 추억": 아슈케나지, 펄먼, 해럴(EMI)*
71. 말러 교향곡 2번 "부활": 래틀, 버밍엄 시 교향악단(EMI)
72. 말러 교향곡 8번: 솔티(데카)*
73. 말러 "대지의 노래": 페리어, 파차크, 발터(데카)
74. 말러 교향곡 9번: 카라얀 신반[실황](DG)
75. 마스카니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레온카발로 "팔리아치": 카라얀(DG)
76. 푸치니 "라 보엠": 카라얀(데카)*
77. 푸치니 "토스카": 칼라스, 데사바타(EMI)*
78. 푸치니 "나비 부인": 카라얀(데카)
79. 드보르자크 교향곡 8번, 9번: 쿠벨릭(DG)
80. 드보르자크 첼로 협주곡: 로스트로포비치, 카라얀(DG)
81. 드뷔시 관현악곡집: 마르티농(EMI)*
82. 드뷔시 전주곡집: 치머만(DG)
83. 슈트라우스 관현악곡집: 켐페(EMI)
84. R. 슈트라우스 "살로메": 솔티(데카)*
85. R. 슈트라우스 "엘렉트라": 솔티(데카)
86. R. 슈트라우스 "로젠카발리어": 카라얀(EMI)
87. 스트라빈스키 관현악 전곡집: 스트라빈스키(CBS/소니)
88. 시벨리우스 교향곡 전집: 데이비스(RCA)
89. 엘가 첼협: 뒤프레, 바비롤리(EMI)*
90. 레스피기 로마 3부작: 토스카니니(RCA)*
91. 베르크 "보체크": 아바도(DG)*
92. 바르토크 "현, 타악기, 첼레스타를 위한 음악" 외: 라이너(RCA)*
93. 거슈윈 "포기와 베스": 래틀(EMI)*
94. 브리튼 "피터 그라임즈": 브리튼(데카)*
95. 프로코피에프 피협 3번: 아르헤리치, 아바도(DG)
96.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 아슈케나지(데카)*
97. 라흐마니노프 피협 2번: 아슈케나지, 프레빈(데카)
98. 오르프 "카르미나 부라나": 요훔(DG)*
99.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 콘드라신(멜로디야)
100.슈베르트 가곡 전집: 피셔-디스카우, 무어(DG)*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