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January 30, 2011
"구상과 실행의 분리"
from http://wibro.allblog.net/view.php?idx=36340068
안 그런 분야가 있을까.
나부터도 이것을 진정으로 극복해야할 것이다.
특히 "저급한 지적 노동"을 하진 말아야 할 것이다.
SIS model at Harvard
“
I thought you might be interested in two articles from a research group at Harvard. This group has adapted the susceptible–infected–susceptible (SIS) model,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used to study infectious disease, for use in studying social contagions. SIS was originally developed to model infectious diseases that do not confer immunity (such as many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The group modified the SIS model to make it more appropriate for studying social contagions by including the possibility for ‘automatic’ (or ‘spontaneous’) non-social infection (SISa). A key feature of the SISa model is its ability to characteri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social vs non-social transmission by quantitatively comparing rates of spontaneous versus contagious infection. The authors illustrate with two social contagions – emotions and obesity.
The first article applies SISa to obesity data (published this week in PLoS Computational Biology). The model forecasts further increases in the obesity epidemic, topping out at around 42%. The second article is from July 2010 and to study the flow of emotion through large social networks. Both employ data from the Framingham Heart Study.
This work was funded in part by NIH.
Infectious Disease Modeling of Social Contagion in Networks.
Hill AL, Rand DG, Nowak MA, Christakis NA, 2010
PLoS Comput Biol 6(11): e1000968. doi:10.1371/journal.pcbi.1000968
http://www.ploscompbiol.org/article/info%3Adoi%2F10.1371%2Fjournal.pcbi.1000968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0/11/101104171346.htm
Emotions as infectious diseases in a large social network: the SISa model
Alison L. Hill, David G. Rand, Martin A. Nowak, Nicholas A. Christaki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 Biological Sciences
Published online before print July 7, 2010, doi:10.1098/rspb.2010.1217
http://rspb.royalsocietypublishing.org/content/early/2010/07/03/rspb.2010.1217.full.html
http://www.wired.com/wiredscience/2010/07/contagious-emotions/
_ _ _ _ _ _ _ _ _ _ _ _ _ _ _ _ _ _”
Saturday, January 29, 2011
한겨레21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28934.html
복지해야 부자도 행복하다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28936.html
평등해야 부자도 오래산다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28933.html
누가 복지를 두려워하는가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28937.html
기사의 문제점을 하나 지적한 글: http://sovidence.tistory.com/341
It's ????, stupid!
일본은 제2의 그리스가 되는게 시간문제인 상황이고
중국도 지방 재정문제가 문제되는 걸로 알고 있고,
그런 상황에서
한국도 이 재정문제라는 것을 피해가기 어려운데...
그런데 이런 문제는 결국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타이트하게 묶여있는 상황이고...
누가 '돈 좀 더 쓰자' 이러면 갑자기 난데없이 좌파/빨갱이의 딱지가 붙어버리기 쉽상이고
결국 어메리칸 모델로 가느냐 유럽 모델로 가느냐의 문제도 있고
유럽 모델에서도 어느 나라 모델로 가느냐의 문제도 있는데
사실 어느 모델로 가든 가장 핵심적인 - 하지만 사람들이 간과하는 - 문제는
공공 조직, 행정 시스템의 부패와 무능, 타성, 나태 등이다.
이태리 시스템이 왜 개판인가? 프랑스에 비해 왜 그렇게 공공 의료 시스템이 끔찍한가?
(이태리의 '관료'시스템에 얼마나 개판인지는 예전 움베르토 에코의 신문 칼럼 모음집만
봐도 기가막히게 웃기게 잘 나온다)
왜 그리스는 그리도 쩔쩔 매는가? - 그리스는 유럽에서 가장 부패한 국가 중 하나고
세금도 잘 안걷힐 뿐더러 지하 자금이 넘쳐난다.
http://www.csmonitor.com/Business/Mises-Economics-Blog/2010/0503/Why-are-Greeks-not-paying-their-taxes
우리나라 정부/국회에서 무상 급식 어쩌고 하면서 결국 정치 이데올로기/치졸한 편가르기 싸움으로
담론이 흐를때, 막상 국가 경영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들은
그런 좌냐 우냐 등이 아니라 얼마나 부패와 무능, 무지, 나태함, 행정주의, 탁상행정 등이
행정, 공공영역에서 사라지는가의 문제라는 걸 아무도 인식하지도, 쳐다보지 않는다.
Friday, January 28, 2011
Glenn Beck
Piven이 death threat까지 여러차례 받았다는...
Glenn Beck의 방송들을 보면
이 나라의 평균 교육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참담한 기분.
그리고 이 미국적 가치라는게 얼마나 사람 잡는 것인지 여실히 보여준다는.
Thursday, January 27, 2011
Fallacies in Social Science
대체로 현상을 설명할때 "무엇"이 중요하다고 하는 거라든가
어떤 메커니즘을 제시할 때라든가 할 때 다양한 종류의 논리적 오류들이 끼는 경우가 많다.
이는 사실상 우리의 사고 방식이 오류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인데...
위키피디아에 정리된 오류들의 예: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fallacies
Propositional fallacy 중에 affirming a disjunct
Qualificational fallacy 중에 proof by example
Reification
등등...
고전
통계학도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아이디어가 처음 생길 때 당시의 논문들을 읽어보면
머릿속이 쨍하고 밝하지는게 있다.
70년대, 80년대초 페이퍼들을 잠시 봤는데 아이디어의 근원들이 어디서 나왔는지 설명이 나오니
무조건 프로그래밍 책만 보고 있는 것보다 훨씬 남는게 많은 듯..
전 룸메가 통계학 포닥이라 이런저런 신기한 얘기를 많이 들을 기회가 있어서 좋았는데...쩝;
사실 insight를 얻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예전 통계학자들 뒷 얘기/memoir같은거 읽는 것ㅎ
Wednesday, January 26, 2011
Observation is selection
천문학자와 물리학자 ,그리고 수학자가 스코틀랜드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었다.
그들은 기차를 타고 여행을 하던 중 들판에서 풀을 뜯고 있는 검은 양 한 마리를 보았다.
그러자 천문학자가 말했다.
"그것 참 신기하군. 스코틀랜드 양은 죄다 검은 색이잖아?"
이 말을 듣고 있던 물리학자가 천문학자의 말을 반박했다.
" 그게 아니야. 스코틀랜드산 양들 중에서 일부만이 검은색이라고 말해야지."
이들의 말이 한심하다는 듯 수학자는 하늘을 잠시 쳐다본 후 조용히 입을 열었다.
"자네들은 너무 성급한 판단을 내린 거야. 스코틀랜드에는 적어도 몸의 한쪽 면 이상의 면적에 검은 털이 나 있는 양이 적어도 한 마리 이상 방목되고 있는 들판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 -- 이래야 말이 되는 거라구"
Observation은 과학의 기본적 도구 중 하나이긴 하지만 observation이라는 것을 바로 "믿으면" 안된다.
왜냐하면 Alfred Whitehead가 말하듯 "Observation is selection" (Whitehead, Science and the Modern World)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맥락은 감각기관은 선택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인데 나는 여기에 sample size의 의미까지 포함 -- Statistical Rules of Thumb이라는 책에 나옴.)
무언가를 observe하고 그걸 가지고 너무 크게 떠들면 안된다.
selected된 것이기 때문이다.
Daniel Bell
최근까지도 학기마다 대학원생들 RA로 hire해서 자택에서 컴퓨터를 배우시던 분..
뉴욕타임즈 부고기사를 읽다가 다음을 읽고 놀랐다.
He also predicted the rising importance of science-based industries and of new technical elites. Indeed, in 1967, he predicted something like the Internet, writing: “We will probably see a national information-computer-utility system, with tens of thousands of terminals in homes and offices ‘hooked’ into giant central computers providing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retail ordering and billing services, and the like.”
우리도 미리미리 예언을 많이 해놓는게..?ㅎ
Tuesday, January 25, 2011
Ten Things You Should Already Know By Now
from http://www.howtogetagrip.com/2010/ten-things-you-should-already-know-by-now/
1. What’s important today won’t matter tomorrow
Yeah, so you got a problem. Sleep on it, sunshine. Put it off. Most problems can be safely ignored. You’ll be amazed how often they sort themselves out.
And the gravity of any given problem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our of the day. At three in the morning, you’ve got an insurmountable issue. After four whisky and cokes at nine in the evening, you haven’t even got an inkling of a problem.
2. Everybody else is furiously improvising, so you can too
Show me an expert and I’ll show you a charlatan. FAKE IT ‘TIL YOU MAKE IT, amigo.
21 year old lifestyle design guru? Hell yeah! Fat, unemployed life-coach? Why not?Homeopathy professional? Whatever, bring it on!
Choose your path, and then Act As If You’re Wearing A Cape.
3. Nobody thinks about you as much as you think about you
Really. They don’t. For example, I’m not thinking about you now. But I bet you are.
4. It’s OK to piss people off
But if you’re pissing everybody off, all the time, it’s time to stop being a dick.
5. Aspiration is for suckers
(arf)
6. Nobody tells all the truth, all the time
So lower your expectations of people. When put in a spot, people fib.
We men lie about our alcohol consumption all the time.
When we’re young and say we had six beers, we probably only had three. Nowadays, if we say we only had three beers, you can be sure it was closer to six.
It doesn’t mean we don’t love you
7. Life doesn’t get better – only your perception of life improves
There was a little man with a lame left leg. He lived on the outskirts of town in a tumble-down house. He had a hole in his roof, and water would come in day and night. His lame left leg meant he couldn’t go out to work, so he survived on the charity of others, who would give him scraps of food. Sometimes he would go for two days and nights with nothing to eat. One day, the town council decided to fix his roof. The little man with the lame left leg became the happiest person you have ever seen. He was so grateful to be dry that he would smile and sing for the passersby all day long.
***
There was a healthy, beautiful woman who lived in a huge house with six servants and manicured lawns. But alas, she was permanently angry, because Jeannine, that bitch, had told her that her handbag was so last season.
8. Your family comes first, but not to the detriment of everything else
You want to go out with the girls? Tell your husband to make his own dinner. And gents, you don’t need permission for that once-a-year trip to Vegas, you just need to communicate it properly.
9. You’re wrong as often as you’re right
So don’t dwell on either.
10. Men should never wear wigs
yes, our happiness also depends on what we believe.
Monday, January 24, 2011
belief
화학적으로도 규정할 수 있듯이
인간 본질 또한 여러가지 방식이 있겠지만 내가 선호하고
또 유용하다고 보는 나만의 시각은 humans are belief machines..정도 된다.
물론 belief말고도 여러가지 특징이 있겠지만
(인지쪽에선 사람 뇌가 베이지언식으도 생각한다고도 하고 MCMC도 이루어진다는 주장도 있는데..--;; 실험에선 실패했지만;)
belief로 보는게 현상 설명하는데 꽤 설명력을 가짐.
belief도 이제 깊게 들어가면 여러가지...axiomatic belief, normative belief, evaluative belief...
belief의 definition들..
A description and perception of an object, its characteristics,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objects. (Katz, 1960)
If aman perceives some relationship between two things or between something and a characteristic of it, he is said to hold a belief. (Bem, 1970)
A proposition to which a person attributes at least a minimal degree of confidence. A proposition, as a statement about an object(s) or relations between objects and/or attributes, can be of any content. (Bar-Tal, 1990)
입장
곰곰히 생각해보니 나는 확실히 bottom-up 방식의 설명을 좋아하는 것 같다.
중위, 상위 수준에서의 거시적 설명도 훌륭하긴 한데 역시 그런 설명도 대부분
미시 수준에서 일어나는 일, 패턴들을 일반화/종합화 해서 말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실상은 미시 수준을 건너뛰는게 아니라 거기에 묶여있다고 할 수 있고,
또, - 여기부터는 개인적 bias가 심히 들어가는데 --
중위, 상위 수준에서의 설명은 그냥 인간 지능과 감각의 한계에서 오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전지전능한, 모든 정보와 모든 예를 들어 "모든" 원자 쿼크 소립자들의 움직임과
확률분포 수준까지 다 알고 있는 -시간 차원도 물론 포함해서 - 신, 혹은 신적 존재를 상상한다고 했을 때,
그 존재에게 어떠한 현상(사회적 현상)을 설명해보라고 한다면 과연 그 절대적 지능/정보의 존재는
그 사안에 어떻게 접근할까? 내가 생각하기엔 당연히 물질의 최소단위와 에너지를 가지고 그 과정을
설명하리라 생각한다.
다르게 말해서, 어떤 현상을 설명한다고 했을떄, 오로지 단 하나만 존재하는 '절대적으로 오류(e)가 없는 설명'이라한다면 그것은 어떠할까? 당연히 저 신적 존재가 택하는 방식일 것임.
결국 인간의 지능의 한계 때문에 어떠한 설명방식이든 불구의 것이지만 가급적이면
미시적 기반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문제가 심각해진다.
=> 내가 hard science를 매우 좋아하는 이유.
물론 이것은 다분히 normative한 입장임. 현실적 연구로 들어가면 얘기가 완전히 달라짐.
(그래서 여기로 들어서게 되면 나의 입장은 매우 우유부단 해짐 - 왜냐하면 모든 얘기는 틀린 얘기이므로. e값의 차이만 날 뿐.)
punchline은 이상적인 세계에선 bottom up설명이 당연한 것이라는 것.
2. 사실 미시/거시나 구조/문화나 정확히 동전의 양면, 뫼비우스의 띠의 양면과 같은 것이라 사실 논의를 한다는 것 자체가 무의미함.
3. 사회과학내도 '믿음' 투성임...
4. 설명도 좋지만 발견이 더 가치있다고 여겨짐
Friday, January 21, 2011
AMY CHUA!
First, some background info about Amy Chua and her controversial book:
http://en.wikipedia.org/wiki/Amy_Chua
And David Brooks’ op-ed about her and her book (and her way of bringing up children, and her…well, everything) which sparked another round of heated discussion – “Amy Chua is a Wimp”
--> One thing that David probably neglected: it is not because the first/second generation Asian immigrants don’t want to try a more balanced approach of parenting. They just never learned that kind of thing. They just follow their parents’ path, which is – being extremely strict and extremely loving. Breaking your ass is the only way to get ahead in East Asia.
A video clip: “
http://www.youtube.com/watch?v=E_GdZFyIE_Q
(the first highest rated comments is realllly disturbing… ((especially if you’re a Korean))
Blogroll
Foundation for European Economic Development
Consider the Evidence by Kenworthy
Amitai Etzioni Notes
http://blog.amitaietzioni.org/
Orgtheory.net
Pomodoro technique
This Pomodoro technique sounds really appealing.
"Our Italian friend encourages us to be free on our free time!"
Can't agree more.
Yes!
Recently I started to use Windows Live Writer to write blog postings, instead of signing in this website every time.
And yes, there are so many great plug-ins! Just downloaded a polaroid picture plug-in for this:
I luv technology! haha
Pomodoro Technique
Nice!
The book:
Website:
http://www.pomodorotechnique.com/
Online Tool:
Video:
http://www.youtube.com/watch?v=cH-z5kmVhzU
Thursday, January 20, 2011
The world is a great mirror
The world is a great mirror. It reflects back to you what you are. If you are loving, if you are friendly, if you are helpful, the world will prove loving and friendly and helpful to you. The world is what you are. - Thomas Dre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