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February 24, 2011

Totalitarianism

내가 가까이 가다가도 결국에 가서는 등을 돌리는 것들은 모두 전체주의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
(히친스 말이 시사적이었음)

미국의 청소년

애들의 worldview와 culture를 좀 이해하지 않으면 안되겠다 싶어서...
(정말 이놈의 cultural catch-up 과정은 끝이 안보인다...)

일단 담주에 한국에 가니 미리 주문하면 안될 것 같고
갔다와서 볼 책 두 권:
(둘 다 사회학자들이 썼음...)


Privilege: The Making of an Adolescent Elite at St. Paul's school

The First Year Out

Tuesday, February 22, 2011

Avital Ronell

데리다는 그나마 그럴듯했지만 수많은 아류들은 정말 봐주기 힘들 때가 많다...

Examined Life라는 나름 볼만한 다큐에 등장하는 인터뷰를 보고 좀 놀래서

Telephone book같은 책도 좀 들춰봤는데 의미없는 언술과 인용과 끝없이 아무것도 달성하지 못하는 지식의 나열과 과시, 어지러운 해체주의적 글쓰기만이 눈에 들어온다.

미국 아카데미의 downgrading을 보여주는 ...?

Test Drive도 잠깐 봤으나... 그냥 문학에 불과하다. 사실 그 기능에 있어 문학보다 더 나쁘다. 아니면 어쩌면 더 좋을 수도... 그 기능이라는게 독자의 나르시시즘 충족이니..

Sunday, February 13, 2011

중국의 변화





















최근에 읽고 있는 두 권의 책들
한권은 중국의 경제 개혁 과정에 관한 책 (Garnaut et al. 2005, China's Ownership Transformation: Process, Outcomes, Prospects), 특히 Gaizhi라 불리는 (改制) 기존의 국영기업들이 민영화되는 과정, 메커니즘을 자세히 밝히는 책이고
다른 한권은 중국의 정치개혁의 전망에 관한 책 (Li, eds. 2008, China's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Prospects for Democracy).




Wednesday, February 2, 2011

Science is not common sense

http://www.wired.com/magazine/2010/08/mf_qa_singh/


"Science has nothing to do with common sense. I believe it was Einstein who said that common sense is a set of prejudices we form by the age of 18. Inject somebody with some viruses and that’s going to keep you from getting sick? That’s not common sense. We evolved from single-cell organisms? That’s not common sense. By driving my car I’m going to cook Earth? None of this is common sense. The commonsense view is what we’re fighting against. So somehow you’ve got to move people away from that with these quite complicated scientific arguments based on even more complicated research. That’s why it’s such an uphill battle. People start off with a belief and a prejudice—we all do. And the job of science is to set that aside to get to the truth."

사이먼 싱. 역시...!
너무 '상식적'인 사람에 대해 느끼는 불편함의 이유.